
6일 AI 업계에 따르면 지난 3일 데이터센터 업계와 기획재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계자 등은 해당 내용에 대한 협의를 진행했다.
현행 조세특례제한법은 기업이 AI 데이터센터 시설에 투자할 때 기업 규모에 따라 투자액의 1∼10%만 세액 공제를 받도록 규정하고 있다. 만약 국가전략기술에 포함되면 감면율은 15∼25%로 높아지게 된다.
AI 연구개발 관련 세액감면율 역시 현행 20∼40%에서 국가전략기술로 인정될 경우 30∼50%로 상향된다. 정부는 대표적인 국가전략기술인 반도체처럼 AI 분야에 5%포인트를 추가 부여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들 역시 지난 3일 진행된 회의에서 해당 내용에 대한 긍정적 입장을 표현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기존 법령 체계로는 '혁신 생산시설'에 해당하느냐를 입증할 마땅한 규정이 없다는 건 걸림돌이다. 이에 정부는 국내 대표 클라우드·데이터센터 운영 기업들에 AI 데이터센터로 이룰 수 있는 혁신 생산의 구체적 사례를 모아 줄 것을 요청했다.
업계에선 자칫 제조업 중심적 사고로 AI 산업 핵심 인프라(생산 기반)에 대한 적극적 지원은 무산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AI 업계 관계자는 “AI로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AI 전환이 전 사회적으로 이뤄지는 상황에도 지원 제도는 아직도 제조업 중심으로 짜여 있다”며 “AI 학습·연산의 핵심 인프라인 데이터센터는 현시점에 가장 확실한 혁신시설”이라고 강조했다.
국정기획위 관계자는 "구체적인 공약 이행 방안은 현재 검토 중인 사안"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