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과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각각 미국 워싱턴DC를 방문해 미국과 협상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여 본부장은 6일 미국 무역대표부(USTR)와 만나 관세 유예 연장을 비롯해 철강, 자동차 등 우리 주요 수출 품목에 대한 관세 철폐를 논의했다.
위 실장도 미국과 통상 협상에 힘을 싣기 위해 이날 미국으로 출국했다. 위 실장은 오는 9일까지 머무르며 통상은 물론 안보와 한미 정상회담 일정 조율 등을 진두지휘할 것으로 알려졌다.
위 실장의 방미는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의 방한 취소 직후 결정된 것으로 알려진다. 따라서 정부가 상황의 엄중함을 인식하고 긴급 대응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5일(현지시간) “12개국에 대한 관세 통보 서한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해당 서한은 오는 7일 발송될 예정이다. 명단은 현재까지 알려지지 않았으나, 그간 협상에 소극적이거나 강하게 반발한 국가들이 포함될 것으로 추측된다. 본보기로 높은 관세를 적용해 협상에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겠다는 의도로 읽히기 때문이다.
미국과 관세 협상에서 성과를 얻지 못할 경우 우리 핵심 수출 품목인 철강·자동차·반도체 등에 높은 관세가 재부과될 예정이다. 이에 국내 경제에 치명적인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따라서 이 대통령이 취임 한 달간 민생회복을 위해 조속한 추경 편성, 국제 무대 복귀를 통한 외교 정상화, 대북 확성기 송출 중단에 따른 한반도 평화 분위기 조성 등의 성과를 거두며 순항했지만, 미국발 관세 폭탄이라는 파고를 넘지 못할 경우에는 정치적으로 출혈이 상당할 것으로 관측된다.
정치평론가인 김철현 경일대 특임교수는 한·미 관세 협상이 성과를 얻지 못할 경우에 대해 “국정의 가장 큰 위험 요인이다. 노무현·이명박 정권 당시에도 미국과 관련한 문제가 정부 초기 국정 운영에 큰 부담이 됐다”며 “이 대통령은 그간 실용 외교를 강조하면서 중국과 양다리를 걸쳤고 이것이 미국을 불편하게 할 것이란 지적이 있었다. 이런 우려가 관세협상 불발로 현실화하면 이재명 정부가 흔들릴 수도 있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