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6·27 부동산 대책이 시행된 이후인 6월 28일부터 7월 12일까지 보름간 경기도 전체 아파트 매매 건수는 총 2446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규제 발표 전인 6월 13일부터 6월 27일까지 보름 동안의 거래량(9150건)과 비교해 73.3% 줄어든 것이다.
수요가 견조하다고 평가받는 성남·수원·용인 등 경기 핵심 지역도 대출 규제의 칼바람을 피하진 못했다. 이들 지역은 수도권 내 중대형 도시로 투자수요 및 실수요가 혼재된 곳이지만, 규제 발표 후 거래 건수가 급감했다.
분당이 속한 성남구에서 대출 규제 영향이 가장 두드러졌다. 같은 기간 성남구 아파트 거래량은 799건에서 39건으로 무려 95% 급감했다.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용인·수원 등도 부동산 시장이 급속도로 얼어붙었다. 용인시는 이 기간 78.7%(979건→209건), 수원시는 72.9%(1011건→274건) 거래가 줄었다.
대출 규제 전후 보름간 평택에서는 아파트 거래량이 323건에서 160건으로 50.5% 줄었고, 이천에서는 69건에서 20건으로 71.0% 줄어드는 등 시장이 크게 위축됐다. 이들 지역은 지방광역시나 서울과 달리 실수요 중심의 시장이기 때문에 대출 규제에 따른 직접 타격이 더 크게 작용한다는 분석이다. 특히 지방 민간 분양은 대출 의존도가 높아 미분양이 장기간 지속되면 분양 사업자의 자금 부담이 빠르게 커지고 지역 경기에도 악영향이 우려된다.
평택의 한 공인중개사 관계자는 "미분양 관리지역으로 지정된 평택은 원래도 수요층이 얕았는데 이번 대출 규제로 대기 수요가 완전히 사라진 듯 하다”면서 "수요자들이 대출 규제로 계약도 못 하는 현상이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수도권 전 지역에 대해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을 최대 6억원으로 일괄 제한하면서 실수요자들이 시장에서 이탈해 일부 지역의 미분양 리스크를 키울 수 있다고 지적한다.
서진형 광운대 부동산법무학과 교수는 "강력한 부동산 수요 억제 정책으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라며 "대출을 통한 실수요자들의 자금 마련이 제한되면서 수도권에서 (미분양 심화 등) 부작용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