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튼형 전지 '삼킴사고' 예방한다…국표원, 어린이보호포장 적용 시행

버튼형 및 코인형 일차전지 어린이보호포장 적용 그래픽 사진산업통상자원부
'버튼형 및 코인형 일차전지' 어린이보호포장 적용 홍보 그래픽.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어린이 삼킴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버튼형·코인형 일차전지에 대해 어린이보호포장을 적용하기 위한 안전기준을 마련한다고 15일 밝혔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10세 미만 어린이의 단추형 전지 삼킴 사고는 최근 5년 동안 총 268건이 발생했다. 이에 어린이가 삼킬 우려가 있는 모든 버튼형·코인형 일차전지는 어린이보호포장대상생활용품으로 관리된다.

이는 버튼형·코인형 일차전지는 완구, 리모콘 등 일상 생활 속 다양한 제품들에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만일 어린이가 전지를 삼킬 경우 체내 전기화학반응으로 인해 식도, 위 등 내부 장기에 화상, 천공, 궤양과 같은 심각한 상해를 입힐 수 있다. 이를 즉시 제거하지 않을 경우 심하면 사망에도 이를 수 있따.

실제로 미국에서는 2020년 18개월 유아가 코인형 전지를 삼켜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이후 이를 예방하기 위해 포장·표시 등을 규정한 '리즈법'을 제정해 지난해 3월부터 시행중에 있다.

어린이보호포장은 어린이가 쉽게 개봉할 수 없도록 이중포장 형태를 적용하는 것이다. 산업부는 포장에 안전그림과 경고문구를 표시하는 방안의 안전기준과 관련 법령을 연내 제정한 뒤 6개월의 유예 기간을 거쳐 내년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김대자 국표원장은 "어린이보호포장을 통해 어린이가 스스로 전지를 쉽게 개봉할 수 없도록 해 아이들이 삼킴사고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길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일상생활에서 어린이 안전확보를 위한 생활용품의 안전관리를 철저히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