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가 '공공의대 설립'과 관련해 "지속 가능한 공공 분야 전문인력 양성체계가 필요하다는 것에 동의한다"고 말했다.
15일 국회에 따르면 정 후보자는 인사청문회 요구자료에서 '공공의대 설립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의에 "지역·필수·공공 의료 분야의 만성적인 전문인력 부족"을 언급하며 이같이 답변했다.
이어 "국민·학계·현장 등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대화를 통해 공공의대 설립에 대해 논의해 나가겠다"고 했다.
정 후보자는 '지역의사제'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있는 만큼 의료계를 포함한 관련 단체, 국민, 전문가 등 논의와 사회적 합의를 바탕으로 추진될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또 필수의료 인력 부족 문제의 원인은 "불공정한 보상체계, 높은 의료사고 위험성 등 의료체계의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됐다"며 "의사인력 수급추계위원회의 과목별 추계 등 전문가 논의, 국민, 의료계, 정부 간 소통과 신뢰 회복을 통한 협력 기반으로 개혁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내년 의대 정원을 논의할 의사인력 수급추계위원회는 추천된 위원 후보들에 대한 검토를 거쳐 이달 중 구성해 운영할 예정이라고 정 후보자는 말했다.
15일 국회에 따르면 정 후보자는 인사청문회 요구자료에서 '공공의대 설립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의에 "지역·필수·공공 의료 분야의 만성적인 전문인력 부족"을 언급하며 이같이 답변했다.
이어 "국민·학계·현장 등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대화를 통해 공공의대 설립에 대해 논의해 나가겠다"고 했다.
정 후보자는 '지역의사제'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있는 만큼 의료계를 포함한 관련 단체, 국민, 전문가 등 논의와 사회적 합의를 바탕으로 추진될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내년 의대 정원을 논의할 의사인력 수급추계위원회는 추천된 위원 후보들에 대한 검토를 거쳐 이달 중 구성해 운영할 예정이라고 정 후보자는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