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는 이달 16~19일까지 제주도에서 '2025년 한경협 경영자 제주하계포럼'을 개최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포럼은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기업가정신, 도전과 혁신'을 주제로 500여 명의 기업인이 참가해 기업가정신과 미래 전략을 함께 모색할 예정이다 .
류진 한경협 회장은 "기업가정신은 국가경제의 엔진이며, 한강의 기적과 10대 경제강국 도약도 이것으로 만들었다"며 "어려운 시기일수록 기업가정신을 되살리는 제도와 환경이 절실하며, '기업하기 좋은 환경'이 문제를 푸는 열쇠"라고 강조했다.
이어 "한경협은 정부와 산업계를 잇는 AI 허브로, 한국형 AI 생태계를 구축하고, '글로벌 AI 3대 강국' 도약의 길을 개척하겠다"면서 "옥스퍼드 영어사전에 '떡볶이(tteokbokki)'가 새롭게 포함되고, 창작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이 토니상을 휩쓴 것처럼, 선진국이 되기 위해선 경제뿐 아니라 문화적 역량과 소프트파워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기조강연에서는 이재상 하이브 대표가 'K-POP의 위기와 도전 :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하이브의 글로벌 확장을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이 대표는 모두가 K-팝 낙관론에 빠져있던 2023년 당시 방시혁 의장이 'K-팝 위기론'이라는 화두를 던지게 된 배경과 하이브가 추진 중인 세 가지 핵심 솔루션을 소개했다. 그는 '멀티 홈, 멀티 장르', '멀티 레이블', '팬덤 플랫폼'이 하이브 위기 극복에 어떻게 기여했는지 소개하며 "업계 리딩 기업으로서 연관된 2차, 3차 산업 생태계까지 같이 성장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고 했다.
포럼 둘째날부터는 디지털 금융, 로보틱스, 인공지능(AI), 여행산업, 헬스케어 등 각 산업을 대표하는 기업인들이 무대에 올라,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의 미래 전략과 혁신 사례를 공유한다.
먼저 이은미 토스뱅크 대표이사가 '디지털 뱅킹의 미래와 토스뱅크의 성공방정식'을 주제로 디지털 금융의 혁신 사례와 핀테크가 가져올 금융의 변화를 소개한다. 이어 현동진 현대자동차 로보틱스랩장은 '사람을 위한 공간과 인터렉티브(Interactive) 기술, 로보틱스'를 주제로 AI 기반 제조업 혁신의 실제 적용 사례를 발표할 예정이다.
콘텐츠 분야에서는 최재원 SAMG엔터테인먼트 부대표가 티니핑을 중심으로 타겟층 확대에 따른 콘텐츠의 IP 비즈니스 확장 전략을 소개하며, 콘텐츠 마케팅과 IP 확장의 실제 사례를 통해 청중의 주목을 이끌 전망이다.
이외에도 송미선 하나투어 대표, 김동신 센드버드 대표, 서재걸 대한자연치료의학회 회장은 각각 여행업의 위기 극복, AI 기반 글로벌 시장 공략, 고령화 시대의 웰니스 트렌드를 주제로 발표를 이어갈 예정이다.
포럼 기간에는 미스터트롯3 '진' 가수 김용빈, 피아노 치는 트롯맨 크리스영, 부활의 정동하가 함께하는 여름밤 스페셜 콘서트가 열려 문화적 감동을 더할 예정이다.
한편, 올해 38회를 맞은 한경협 경영자 제주하계포럼은 한국 경제계 대표적인 여름철 지식 교류의 장으로 자리매김해왔다. 한경협은 이번 포럼을 통해 경영자들에게 재충전의 기회를 제공하고, 침체된 내수시장에 활력을 불어넣는 K-바캉스 실천의 의미도 함께 담아낼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