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 특검, 조태용·이종호 압수물 공유…해병특검, '구명로비' 제보자도 압수수색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 관련 사건을 수사 중인 3개 특별검사팀이 주요 수사대상인 조태용 전 국가정보원장과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의 압수물을 공유하며 공조 수사를 본격화하고 있다. 해병대 채상병 순직 사건의 ‘임성근 구명로비’ 의혹 제보자에 대한 강제수사도 함께 진행됐다.

이명현 순직해병특검팀은 앞서 확보한 조 전 원장과 이 전 대표의 휴대전화 등을 각각 내란특검과 김건희특검에 제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날 서울 서초동 특검 사무실에서 정례 브리핑을 연 정민영 순직해병특검보는 “내란특검과 김건희특검이 발부받은 압수수색 영장을 전날 집행했다”며 “조 전 원장의 휴대전화는 내란특검이, 이 전 대표의 휴대전화와 USB는 김건희특검이 각각 영장에 따라 가져갔다”고 설명했다.

해병특검은 해당 압수물의 원본을 보존한 상태에서 내용을 복제해 각 특검에 제출하는 방식으로 자료를 공유했다. 정 특검보는 “압수물은 위법 수집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반드시 법원의 영장을 통해 정식 절차를 거쳐야 한다”며 “앞으로도 이런 방식의 제출이 추가로 있을 수 있다”고 밝혔다.

세 특검은 중복 수사 우려를 줄이기 위해 조 전 원장과 이 전 대표 등 공통 수사대상과 관련된 압수물을 공유하기로 사전에 협의한 바 있다. 공유는 각 특검이 해병특검의 압수물에 대해 별도로 법원의 영장을 발부받고, 이를 집행하는 형식으로 이뤄졌다.

해병특검은 앞서 10일 이 전 대표 자택, 11일 조 전 원장 자택을 압수수색해 관련 자료를 확보했다. 조 전 원장은 윤 전 대통령이 지난해 7월 31일 채 상병 사건의 초동수사 결과를 보고받은 대통령실 회의에 참석한 인물이다. 당시 사건 이첩 지연 및 혐의자 변경 과정 등에서 수사 외압이 있었다는 의혹과 관련해 해병특검의 수사를 받고 있다. 그는 또한 윤 전 대통령과 홍장원 당시 국정원 1차장 등과 함께 계엄 검토 정황 속 ‘비화폰’ 데이터가 원격 삭제된 사건에도 연루돼 내란특검 수사 대상이기도 하다.

이 전 대표는 채 상병 사건에서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을 과실치사 혐의자에서 제외하려고 김건희 여사와의 친분을 이용해 로비를 벌였다는 의혹의 당사자다. 동시에 도이치모터스·삼부토건 주가조작 사건에서도 핵심 인물로 지목돼 김건희특검의 수사 대상에 포함돼 있다.

한편 해병특검은 이날 ‘구명로비’ 의혹을 처음으로 정치권에 제보한 전직 해병대원 이관형 씨의 자택과 사무실, 차량 등을 대상으로 압수수색을 벌였다. 이씨는 참고인 신분으로, 휴대전화와 메모, USB 등 다수의 압수물이 확보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씨는 지난해 6월 더불어민주당 장경태 의원실에 임 전 사단장과 이 전 대표가 가까운 사이이며, 이 전 대표가 김 여사 측에 구명로비를 했다는 의혹을 제보했다. 하지만 이후 “두 사람이 실제로는 친분이 없었다”면서 “장 의원 측이 ‘내용이 사실이 아니어도 김건희 여사로 연결만 되면 된다’고 말하며 정치적으로 활용하려 했다”고 주장해 논란이 일었다.

해병특검은 제보의 신빙성과 조작 여부, 실제 구명로비 정황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할 계획이다. 3개 특검 간 공조 수사는 향후 증폭될 수 있는 정황 증거와 핵심 피의자의 연계를 중심으로 더욱 긴밀해질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