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국민의 삶을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만드는 데 힘쓰고 있다.
12일 카카오가 발간한 '공공혁신 리포트 2025' 에 따르면, 카카오는 행정 불편 해소, 예산 절감, 취약계층 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적 가치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보고서에는 카카오의 6개 계열사, 14개 서비스의 공공혁신 사례 38건이 담겼다. 특히 카카오톡이 국민 안전을 위한 중요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었다.
기상청은 폭염 및 한파 예보를 카카오톡 알림톡으로 직접 전달하는 서비스를 도입했다. 이용자는 자신이 설정한 지역의 예보를 받고 가족과도 쉽게 공유할 수 있다. 이 서비스는 2024년 한파 예보에서 이용자 만족도 95%를 기록했다.
같은 해 폭염 예보 시범 서비스에서는 피해 사례가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소방청도 해외 거주 국민을 위한 '재외국민 119 응급의료 상담 서비스'를 카카오톡 채널로 운영하고 있다. 2024년 상담 건수 중 카카오톡 이용률은 62.5%에 달했다.
카카오는 취약 계층의 이동 편의성을 높이는 데도 기여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대전광역시의 교통약자 이동 지원 서비스인 '사랑나눔콜' 을 카카오T 앱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기존에는 별도 콜센터나 공공 앱을 사용해야 했지만, 이제 카카오T 앱으로 편리하게 전용 차량을 부를 수 있게 됐다.
이 외에도 카카오의 기술은 지역 사회와 환경 분야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디케이테크인과 양평군이 개발한 카카오톡 기반의 스마트 마을방송 플랫폼 '#온동네' 는 지역 주민들에게 언제 어디서나 마을 방송을 들을 수 있게 해 노후화된 기존 스피커 방송의 한계를 보완했다.
또한, 카카오메이커스는 환경부와 협력해 2개월 만에 238만 개가 넘는 종이팩을 수거했다. 수거된 종이팩은 고품질 종이로 재활용될 예정이다.
이러한 카카오의 노력에 대해 외부 전문가들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은경 희망제작소 소장은 "민간의 기술이 공공서비스와 만나 서로의 영향력을 어떻게 넓힐 수 있는지 보여준다"고 말했다. 박지영 경제사회연구원 원장 역시 "단순한 플랫폼을 넘어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모습이 인상적이다"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