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년 중임제는 현재 5년인 대통령 임기를 1년 줄이되 현직 대통령이 한 번 더 출마할 수 있도록 연임을 허용하는 제도로, 미국이 시행하고 있다. 최대 8년간 대통령직을 수행하면서 정책의 연속성을 유지하고 안정적으로 국정을 운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현직 대통령에 대한 중간 평가가 이뤄지는 만큼 국민 여론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
다만 대통령이 첫 임기 동안 재선을 위해 선심성 정책 등 포퓰리즘성 국정 운영을 할 우려가 있다. 또 연임한 대통령의 경우 5년 단임제와 같이 제왕적 권한을 그대로 누린다는 한계가 있다.
유럽의 이원집정부제는 대통령이 외교와 통일, 국방 등 외치를 맡고 국회가 선출한 총리가 내치를 담당하는 프랑스 방식과 대통령은 최소한의 권한만 갖는 상징적 존재로 두고 입법부와 내각이 권력을 분점하는 독일 방식으로 나뉜다.
영국과 일본의 의원내각제는 의회 다수당이나 그 연합의 대표가 총리를 맡아 내각(행정부)을 구성한다. 행정부와 입법부 권력이 일치해 국정 전반의 집행력을 높이고 책임정치를 구현할 수 있다. 내각제는 집권당이 과반 의석을 차지하지 못하는 한 승자독식이 불가능하고 각 정치세력 간 협상과 타협을 해야 하는 연정이 필수다.
의원내각제는 총리가 의회해산권을, 의회는 내각 불신임권을 가져 정부 교체가 쉽다. 그러나 일본처럼 특정 정당이 권력을 독점하면 견제할 수 없고 연정 과정에서 각 당 내부 갈등이 커지면 내각 해산과 의회 재선출이 반복될 가능성도 내포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