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왕고래 유망구조에 정박해 시추 위치를 조정하고 있는 웨스트카펠라호의 모습. [사진=한국석유공사]
한국석유공사의 동해 해상광구 개발 사업에 복수의 외국계 업체가 참여 의사를 타진했다. 다만 대왕고래 유망구조에 대한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석유공사는 지난 19일 15시 '동해 해상광구 투자유치(지분참여) 입찰'을 마감해 개찰한 결과 복수의 외국계 업체가 입찰에 참여했다고 21일 밝혔다.
앞서 석유공사는 지난 3월 동해 해상광구 투자유치 입찰을 개시한 바 있다. 다만 잠재 투자사의 입찰 기간 연장요청에 따라 입찰 기간을 3개월 연장한 바 있다.
입찰 마감에 따라 석유공사는 투자유치 자문사인 S&P 글로벌을 통해 입찰 평가 및 제안서에 대한 충분한 검토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후 적합한 투자자가 있을 경우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해 세부 계약조건에 대한 협상을 거쳐 조광권 계약 서명 절차를 진행한다.
다만 구체적인 입찰 업체에 대해서는 "입찰 참여사 간의 공정한 평가를 위해 현 시점에서는 입찰 참여 업체에 대한 구체적 사항은 공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걸림돌은 동해 유망구조 가스 매장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됐던 대왕고래 유망구조의 경제성이 사실상 없다는 것이다. 석유공사는 지난 2월 유망구조 중 하나인 대왕고래 구조 시추를 통해 취득한 시료를 전문업체를 통해 지난달 말까지 정밀분석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 사암층(약 70m)과 덮개암(약 270m), 공극률(약 31%) 등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양호한 지하구조 물성을 확인했다. 하지만 50~70%에 달할 것으로 예상됐던 가스포화도가 6.3%에 그쳐 회수 가능한 가스가 사실상 없었다.
이에 석유공사는 대왕고래 구조에 대해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최종 확인하고 추가 탐사를 추진하지 않기로 했다.
석유공사는 "그동안 탐사와 이번 시추를 통해 축적된 자료를 기반으로 투자유치 성사시 공동 조광권자와 함께 유망성평가, 탐사 등 사업계획을 새롭게 수립할 예정"이라며 "한국의 자원안보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석유공사는 지난 19일 15시 '동해 해상광구 투자유치(지분참여) 입찰'을 마감해 개찰한 결과 복수의 외국계 업체가 입찰에 참여했다고 21일 밝혔다.
앞서 석유공사는 지난 3월 동해 해상광구 투자유치 입찰을 개시한 바 있다. 다만 잠재 투자사의 입찰 기간 연장요청에 따라 입찰 기간을 3개월 연장한 바 있다.
입찰 마감에 따라 석유공사는 투자유치 자문사인 S&P 글로벌을 통해 입찰 평가 및 제안서에 대한 충분한 검토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후 적합한 투자자가 있을 경우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해 세부 계약조건에 대한 협상을 거쳐 조광권 계약 서명 절차를 진행한다.
걸림돌은 동해 유망구조 가스 매장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됐던 대왕고래 유망구조의 경제성이 사실상 없다는 것이다. 석유공사는 지난 2월 유망구조 중 하나인 대왕고래 구조 시추를 통해 취득한 시료를 전문업체를 통해 지난달 말까지 정밀분석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 사암층(약 70m)과 덮개암(약 270m), 공극률(약 31%) 등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양호한 지하구조 물성을 확인했다. 하지만 50~70%에 달할 것으로 예상됐던 가스포화도가 6.3%에 그쳐 회수 가능한 가스가 사실상 없었다.
이에 석유공사는 대왕고래 구조에 대해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최종 확인하고 추가 탐사를 추진하지 않기로 했다.
석유공사는 "그동안 탐사와 이번 시추를 통해 축적된 자료를 기반으로 투자유치 성사시 공동 조광권자와 함께 유망성평가, 탐사 등 사업계획을 새롭게 수립할 예정"이라며 "한국의 자원안보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