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김동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서울 서대문갑)은 강원랜드로부터 제출받은 '콤프 제도 운영 현황'자료를 토대로 이 같이 밝혔다.
강원랜드에서 시행중인 콤프는 카지노에서 고객 유치를 위해 무료로 숙식이나 교통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마일리지 제도를 말한다. 콤프는 영어 단어 Complimentary에서 유래했으며 카지노 이용 고객에게 숙박이나 식사 등 내부 시설을 무료로 제공함과 더불어 지역 경제 상생을 위해 지역 가맹점으로 사용처를 확장해 현금처럼 쓸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콤프는 지난 2021년 1236억원, 2022년 1136억 원, 2023년 1175억 원, 2024년 1242억 원, 2025년 8월까지 912억원 등 최근 5년간 지급된 규모가 총 5701억원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다가 지난해 실사 강화와 제보 접수가 본격화되면서 한 해 동안 무려 29건의 콤프깡 사례가 적발됐다. 이는 단속이 강화된 결과이지만, 동시에 그동안 얼마나 많은 불법 거래가 제대로 걸러지지 않았는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문제는 관리 인력과 법적 근거 모두 턱없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단말기 이동 등 기술적 회피 방법은 날로 정교해지는데, 약 1600개 가맹점을 단 4명의 현장실사 인력이 관리하고 있다. 현행법상 직접 처벌할 수 있는 근거도 없어 사건을 경찰에 넘겨도 솜방망이 처벌에 무혐의로 끝나는 실정이다.
김동아 의원은 "강원랜드 콤프 제도가 지역 상생을 위한 취지로 시작됐지만 콤프 불법 사용으로 오히려 지역을 위험에 빠뜨리고 있다"며 "지역경제에 영향이 큰 만큼 법적 제도를 정비하고, 인력 충원 등 관리 체계를 강화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근본적인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