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16일 만에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 이재명 정부 출범 후 두 번째다.
7일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우리 군은 낮 12시 35분경 북한 평북 대관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된 미상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 한 발을 포착했다.
합참은 “포착된 북한의 미사일은 약 700km를 비행했으며 정확한 제원에 대해서는 한미가 정밀분석 중에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미 정보당국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 준비 동향을 사전에 포착하고 감시해 왔으며, 발사 즉시 탐지 후 추적했다”며 “또한 미·일 측과 관련 정보를 긴밀하게 공유했다”고 덧붙였다.
북한의 탄도미사일 도발은 지난달 22일 이후 16일 만이며, 올해 7번째다.
일각에서는 약 700km라는 사거리를 고려했을 때 이번 미사일 발사는 지난 5일 부산작전기지에 입항한 미국 해군 항공모함 조지워싱턴함(CVN)에 대한 반발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최근 미국 정부가 잇달아 대북제재 조치를 취한 데 대한 반발이라는 분석도 있다. 미 재무부는 지난 4일(현지시간) 북한 정권의 사이버 범죄 수익 자금 세탁에 관여한 북한 국적자 8명과 북한 소재 기관 2곳을 제재 대상으로 새롭게 지정했다. 미 국무부도 북한산 석탄·철광석의 대중국 수출에 관여한 제3국 선박 7척에 대해 유엔 제재 대상 지정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7일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우리 군은 낮 12시 35분경 북한 평북 대관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된 미상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 한 발을 포착했다.
합참은 “포착된 북한의 미사일은 약 700km를 비행했으며 정확한 제원에 대해서는 한미가 정밀분석 중에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미 정보당국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 준비 동향을 사전에 포착하고 감시해 왔으며, 발사 즉시 탐지 후 추적했다”며 “또한 미·일 측과 관련 정보를 긴밀하게 공유했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약 700km라는 사거리를 고려했을 때 이번 미사일 발사는 지난 5일 부산작전기지에 입항한 미국 해군 항공모함 조지워싱턴함(CVN)에 대한 반발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최근 미국 정부가 잇달아 대북제재 조치를 취한 데 대한 반발이라는 분석도 있다. 미 재무부는 지난 4일(현지시간) 북한 정권의 사이버 범죄 수익 자금 세탁에 관여한 북한 국적자 8명과 북한 소재 기관 2곳을 제재 대상으로 새롭게 지정했다. 미 국무부도 북한산 석탄·철광석의 대중국 수출에 관여한 제3국 선박 7척에 대해 유엔 제재 대상 지정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