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지하철 파업 대비 선제적인 비상수송대책본부 가동

  • 비조합원·본사 인력 투입, 지하철 역무 기능 유지

대구시는 대구교통공사 노조가 교섭 결렬 시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구성하고 신속한 가동에 나선다 사진대구교통공사
대구시는 대구교통공사 노조가 교섭 결렬 시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구성하고 신속한 가동에 나선다. [사진=대구교통공사]

대구광역시는 대구교통공사 노조가 교섭 결렬 시 21일 시한부 파업을 예고함에 따라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구성하고 신속한 가동에 나선다고 이날 밝혔다.
 
노조 파업 시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도시철도 1·2호선 운행 횟수가 기존 296회에서 188회로 줄어 열차 운행률이 평시 대비 36.5% 감소하고, 낮 시간대 5~8분인 배차시간이 13분 대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대구시는 △비상교통상황실 설치 운영(대구시, 교통공사, 버스조합 등) △대시민 홍보(주요 언론사, 도로전광판, 버스정보안내기 등) △열차 운행 필수 인력(292명) 투입을 통한 최소 열차 운행률 확보(63.5%) △비조합원 및 본사 인력 투입을 통한 역무 기능 유지 등 주요 대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아울러 추가 파업에 대비해 △지하철 1·2호선 전세버스 대체 투입 준비 △시내버스 예비 차량(86대) 투입 △시 공무원 배치를 통한 역사 운영 지원 △파업 진행 상황에 따라 공무 차량 동원 등 단계별 비상 수송 대책을 추진해 시민들의 대중교통 이용에 불편이 없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허준석 대구시 교통국장은 “도시철도 파업으로 인한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수송력을 동원하는 등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시민을 먼저 생각해 노사 간 합의점 도출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