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 저축銀 구조조정 '칼바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1-16 18:4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금융위, 삼화저축銀 6개월 영업정지 후 중앙부산 등 10곳 구조조정 방침

(아주경제 방영덕 기자) 금융당국이 부실저축은행 구조조정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부실 저축은행에 영업정지란 초강수를 둔 것 뿐 아니라 경영정상화 기간과 관계없이 매각 절차를 동시에 추진한다는 방침이기 때문이다.
 
특히 이번 조치는 김석동 금융위원장 취임 이후 부실 저축은행 문제 해결 의지를 표명하고 금융지주사들이 저축은행 인수 의사를 밝힌 데 이어 전격 단행된 것이어서 주목된다. 금융권에서는 금융당국이 본격적인 부실 저축은행 구조조정의 칼날을 빼들었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1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 14일 금융위원회는 임시회의를 열어 삼화저축은행을 부실금융기관으로 결정하고 경영개선명령(6개월 영업정지)을 내렸다고 밝혔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작년 7월 말 기준 삼화저축은행의 부채가 자산을 504억원 초과하고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1.42%로 지도기준에 미달해 이같이 결정했다"고 말했다.
 
금융위는 삼화저축은행에 대해 영업정지 명령을 내리며 한 달 동안의 경영정상화 기간과 관계없이 매각 절차를 동시에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일반적으로 경영정상화의 기회를 준 뒤 이후 매각작업에 들어갔던 기존 방식과는 다른 구조로, 종래에는 예금보험공사가 가교저축은행을 만들어 자산과 부채를 이전하고 어느 정도 정상화한 뒤 제3자에게 매각을 해왔다.
 
하지만 이번에는 가교저축은행 없이 곧바로 시장에 공개경쟁 입찰로 내놓아 2월 중순까지 최종 인수자를 선정하는 초단기 매각전략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 때문에 시장에서는 금융당국의 이번 조치를 저축은행 구조조정의 신호탄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현재 시장에서는 삼화저축은행을 제외하고도 대전과 중앙부산 등 10곳의 저축은행이 경영정상화를 시급히 추진해야 할 대상으로 관측되고 있다. 금융감독원과 경영정상화 약정(MOU)을 맺은 61개 저축은행 가운데 이행실적이 불량한 일부 업체가 추가 매물로 나올 가능성도 크게 점쳐지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해 9월말 기준 국내 105개 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기준 자기자본비율은 9.33%로 전년 대비 0.21%포인트 하락했다. 특히 10개 저축은행의 BIS비율은 적기시정조치 대상인 5%를 밑돌고 있으며 이 가운데 3개 저축은행이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다.
 
부실 저축은행에 대한 영업정지 명령이 잇따르면 현재 매물로 나와 있는 저축은행의 가격이 크게 떨어져 구조조정은 급물살을 탈 것 이라는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