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국조특위는 25일 부산저축은행 현장방문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조사활동에 착수했다.
한나라당 고승덕 의원은 민주당이 전날 저축은행 자산 매각과 부실 책임자의 은닉재산 환수 등으로 예금 피해액을 전액 보전하겠다고 발표한 데 대해 "5000만원 이상 예금액을 전액 보상하겠다는 민주당 방안을 사전에 예보와 협의했느냐"고 지적했다. 같은당 조문환 의원은 "현실성이 없다"고 비판했다.
한나라당 홍준표 대표도 이날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민주당은 책임있는 자세를 보여야 하며 피해자들 앞에서 정치쇼를 하면 안 된다"며 "김대중 정부에서 부실의 대명사인 신용금고를 저축은행으로 탈바꿈시키고 노무현 정부 때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셜(PF) 대출을 무한대로 풀어준 게 원인"이라고 공세를 펼쳤다.
이에 맞서 민주당 신학용 의원은 "한나라당처럼 특별법을 만드는 것은 금융질서 전체를 왜곡할 수 있기에 민주당 자체 방안을 낸 것"이라며 "이걸 놓고 예보와 논의했니 안했니를 따져 뭐하느냐"고 맞받아쳤다.
여야는 저축은행 사태를 두고는 서로 책임 공방을 벌였지만, 정부와 금융감독당국을 질타하는 데엔 한 목소리를 냈다. 저축은행 사태의 책임을 관련 당국에 남기고, 피해자들을 달래 지지를 끌어내겠다는 의도로 읽힌다.
한나라당 이진복 의원은 금융당국의 피해 현황을 보고받은 뒤 "당국이 본인들이 잘못했다는 내용은 한마디도 하지 않는다"며 "부실 감독에 더해 부실 보고"라고 말했다.
한편 저축은행 국조 특위는 26일에는 보해 저축은행과 광주지검을 방문하고 이달 말 문서검증, 다음달 초 기관보고를 거쳐 다음달 12일 국정조사 결과보고서를 채택할 예정이다.
다만 이번 국조의 핵심이 될 증인채택 문제를 두곤 아직도 여야가 평행선을 긋고 있어 청문회 일정은 불투명한 상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