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은 이날 제55차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국제사회가 서로 책임을 공유하고 각자의 역할이 상호 보완적으로 어우러질 때 지구촌 공동체의 공생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자유시장경제의 부작용으로 나타나는 빈부 격차에 대한 반성과 대책을 촉구하는 것으로 지난 8.15 광복절 경축사에서 새로운 국정운영 비전으로 제시한 ‘공생 발전’과 같은 맥락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와 관련, “공생발전 개념을 세계적 차원으로 확대했다는 의미”라며 “한 국가 단위뿐 아니라 선진국과 개발도상국간의 격차가 심화될 경우 문제는 국경선 안에 머물지 않고 전세계의 위기로 이어질 것이란 점을 지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지난 2008년부터 시작된 글로벌 금융위기가 국가간 ‘연계’의 단적인 예로 들고, 전 세계를 휩쓴 자유 시장경제에 대한 반성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점을 환기시켰다.
이 대통령은 글로벌 공생발전을 위해 △유엔의 ‘새천년개발목표(MDGs)’에 대한 협력과 △공적개발원조(ODA) 증액을 약속했다.
이 대통령은 또 성장과 환경을 고려한 ‘녹색성장’ 발전론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유엔 원자력 안전 고위급회의 기조연설을 통해 “화석연료는 덜 쓰고 재생에너지 개발을 확대하며 안전한 원자력 활용을 추구해야 한다”는 논리를 폈다.
하지만 이 대통령은 대일외교 영역에서는 힘을 발휘치 못했다.
이날 유엔총회 이후 열린 한일정상회담에서 위안부 청구권 협의 문제는 논의테이블에도 오르지 못한 것이다. 정부는 당초 이번 정상회담에서 위안부 문제를 언급한다는 입장이었다.
이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이번 회담은 노다 총리 취임 이후 첫 번째 한일 정상회담으로 ‘상견례’ 성격이 강했고 회담이 통역을 포함 30분 정도 진행됐기 때문에 많은 현안을 논의하기 어려웠다”고 해명했다.
문제는 한일 양국간 회담 의제의 ‘힘이 균형’이 무너졌다는 점이다. 일본 정부는 자국의 현안인 북한의 일본인 납치 문제를 언급해 이 대통령의 공감까지 끌어냈다. 반면 이 대통령은 위안부 문제는 물론, 독도영유권 문제 등 민감한 사안에 대해 언급조차 못했다. 때문에 ‘종속외교의 전형이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관계자는 “한일간 다른 통로로 얘기가 있었는지 확인해봐야겠지만 일본 총리는 납북자 얘기를 꺼냈는데 우리 대통령이 위안부 문제를 언급조차 못했다는 것은 당혹스럽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