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후보는 4일 아주경제와 가진 인터뷰에서 오는 15일 치러지는 전당대회와 관련해 "민주통합당은 아직 국민의 완전한 신뢰를 얻지 못했다. 변화를 거부하고 기득권과 지역패권에 연연한다면 고루한 정치세력으로 정체돼 국민의 외면을 받을 수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그는 "가치혁신과 세대혁신의 시급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혁신의 비전이 뚜렷하고, 이를 관철시킬 수 있는 돌파력도 있어야 한다"며 "서민경제의 문제를 해결하는 수권정당의 지도자로서의 면모를 보여드리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권과 반칙 위에 성립한 재벌 해체, 그렇게 축적된 부의 사회적 환원, 불공정 거래에 대한 징벌적 손해배상제 등 경제 민주주의에 입각한 국민경제의 새 발전 모델을 제시해야한다"고 주장했다.
김 후보는 복지를 중심으로 한 한나라당의 정책적 쇄신과 인적 물갈이에 대해서도 쓴소리를 던졌다.
그는 "박근혜 비대위원장을 중심으로 추진되는 한나라당의 쇄신과 복지는 지도자의 모범 없는 말잔치일 뿐"이라며 "박 위원장은 정수장학회·육영재단·영남대학교 등 박정희 전 대통령으로부터 상속받은 모든 재산을 사회에 환원해야 하는 것이 최소한의 선결 조치"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당내 민주당 세력과 시민사회 측의 화학적 결합에 대해선 "공동의 목표를 위해 단결해 싸우면서 상처와 갈등이 치유되고 하나로 뭉쳐진다"며 "'경제 민주주의'라는 새로운 가치와 비전으로 총선승리를 위한 전투를 해가면서 시민사회 세력과 하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통합진보당과의 통합 문제와 관련해선 "통합이 아닌 연대의 대상"이라고 선을 그은 뒤 "각 정당이 후보를 공천하고 경쟁력 있는 후보로 단일화 해야한다. 지분협상을 통한 일괄 단일화는 추진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김 후보는 현재 민주통합당 소속 국회의원 82명 중 29명의 지지를 받고 있으며, 19대 총선에선 대구지역 출마를 선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