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금융권에 따르면 외환은행 노조는 전날 시작했던 윤 행장의 출근저지 투쟁을 하룻만에 중단했다.
윤 행장이 노조와의 마찰을 우려해 첫 출근을 보류하고, 17일까지의 쟁의 조정기간 동안 출근 대신 성의있게 대화에 임하겠다고 약속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윤 행장은 “쟁의조정 기간동안 대화를 진행 중인 상황에서 한쪽으로는 대화하고, 다른 한쪽으로는 진입을 시도하는 건 맞지 않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특히 대화 국면에서는 서로 신뢰해야 하며 몸으로 충돌하는 건 없어야 한다는 견해도 밝혔다.
윤 행장의 이같은 행보에 외환은행 노조 측도 윤 행장이 출근을 하지 않겠다고 밝힌 만큼 인력동원을 통한 출근저지 투쟁도 잠정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노조는 하나금융과의 협의에서 뚜렷한 성과를 보일 때까지 노조의 투쟁은 중단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은 고수했다.
실제로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신청을 한 노조는 이달 6일부터 외환은행 경영 계획과 관련해 하나금융 측과 대화를 진행하고 있다.
노조는 17일까지로 잡혀있는 쟁의 조정기간에 합의점을 찾지 못한채 행장의 출근 시도가 재개되면 다시 저지에 나선다는 입장이다.
특히 노조는 `투 뱅크 체제‘와 외환은행 브랜드 유지, 하나금융의 메트릭스 체제에서 벗어난 외환은행 직원들의 고용 안정 보장, 재무ㆍ인사 부문의 독립성 확보 등을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노조는 ‘하나금융의 인수작업이 끝난 이후에도 외환은행을 되팔도록 할 것’이라는 기존의 강경한 입장에 대해서는 “일단 외환은행의 독립성 유지가 먼저”라며 누그러진 입장을 보였다.
금융권에서는 이에 대해 일단 출근 저지를 통한 물리적 충돌이 없다는 점은 고무적이라는 시각이다. 다만 며칠 안에 가시적인 협상 성과를 낼 가능성이 적기 때문에 갈등의 근본적인 해결은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