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내대표 러닝메이트인 정책위의장에는 탈박(脫朴)을 선언했다가 이번 총선을 통해 친박에 복귀한 진영(서울 용산·3선) 의원이 선출됐다.
이에 따라 새누리당의 ‘박근혜 체제’가 더욱 강화되는 동시에 오는 15일로 예정된 전당대회에서도 새누리당 내 친박계 영향력 역시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이한구 의원은 9일 열린 19대 당선자 총회 원내대표 결선투표 결과 전체 138표 중 72표를 얻어 66표를 얻은 남경필(원내대표 후보)-김기현(정책위의장 후보) 조를 꺾고 당선을 거머쥐었다. <관련기사 6면>
앞서 1차 투표에서는 남경필-김기현 후보가 58표를 얻어 이한구-진영 후보가 얻은 57표에 1표 차로 앞서 1위를 차지했으나 결선투표에서는 72표를 얻은 이 후보에게 밀려 승리를 내줬다.
이주영-유일호 후보는 1차 투표에서 26표를 얻는 데 그쳐 낙선의 고배를 마셨다.
이한구 의원의 당선은 친박계의 보이지 않는 지원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번 총선을 통해 당내 80% 가까이를 친박계 의원이 차지했고, 오는 12월 대선을 앞두고 당내 친박 체제를 공고히 해야 한다는 암묵적 동의가 이 의원의 당선에 결정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이 의원은 박근혜 위원장의 ‘싱크탱크’인 국가미래연구원에 참여하고 있는 유일한 현역 의원으로 ‘박근혜 경제교사’로 불릴 만큼 친박계 핵심 인사로 평가받고 있다.
진영 의원 역시 박 비대위원장이 당 대표 재임 시절 비서실장을 지내며 친박계 핵심 인사로 분류됐으나 지난 18대 국회에서 탈박을 선언했다가 이번 총선을 통해 국회에 재입성하며 박 비대위원장의 재신임과 함께 친박계에 복귀한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