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상가정보업체인 상가뉴스레이다가 지난 1~7월 공급된 신규 LH상가 낙찰공급률(최초입찰 기준·특별공급 제외)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지상 1층 점포는 총 78개 중 70곳(89.7%)이 낙찰됐다.
반면 지상 2층 점포는 총 40개 중 29곳(72.5%)가 새 주인을 찾았다.
지상 3층에서는 6개의 신규 점포만 입찰됐고, 이 중 단 한 개만 낙찰에 성공했다.
지상 1층은 2층에 비해 낙찰금액대도 상대적으로 높았다. 올해 낙찰된 1층 점포 70곳 중 절반에 가까운 31개 점포가 3억원 이상의 낙찰가를 기록했다. 2억원 이상에 낙찰된 점포까지 합치면 총 61개다.
지상 2층 점포 중에서는 총 29개의 낙찰점포 중 2억원 미만에 낙찰된 점포가 22개에 달했다. 1억원 미만에 낙찰된 상품도 9개나 됐다.
지상 1층은 2층 점포에 비해 가격대는 높았지만 LH상가 대부분이 단지내 상가로 구성되는 만큼, 업종 구성이 용이해 선호도가 높았던 것으로 파악된다. 또 투자금액이 민간 상가에 비해 적다는 것도 매력으로 꼽힌다.
선종필 상가뉴스레이다 대표는 “투자자 입장에서는 투자금액이 낮다고 무조건 좋은 점포라고 할 수는 없다”며 “주변 단지 규모나 접근성, 배후세대 입주, 향후 가치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각 점포별 적정 가격선을 파악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올해 하반기 신규 LH상가는 9월 오산 세교지구를 시작으로 서울 강남·광교 등의 지역에서 입찰이 이어질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