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률은 2%대로 굳어지는 추세인데 환율은 되레 강세다. 원화 가치가 높아지면, 즉 환율이 떨어지면 그만큼 우리 수출기업들의 경쟁력이 떨어진다. 그러잖아도 올해 수출이 좋지 않은데 환율까지 엇박자를 내면서 성장률 추가 하락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가뜩이나 가계부채 등으로 소비 여력이 급속하게 위축된 상황에서 수출마저 타격 입을 경우 전체 성장률 저하를 촉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22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0.9원 오른 1104.2원으로 마감하며, 심리적 마지노선인 1100원에 바짝 다가섰다. 지난 15일부터 19일까지 닷새째 연중 최저치를 연이어 경신한바 있다.
환율이 하락하면 해외에서 우리나라 제품이 비싸지기 때문에 수출에 불리하다. 반대로 환율이 상승하면 수출품의 가격 경쟁력이 높아진다.
삼성경제연구소에 따르면 환율이 10% 하락할 때 수출과 경제성장률이 각각 0.54%포인트, 0.72%포인트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글로벌 경기침체와 함께 환율도 떨어지는 만큼 전반적인 경기 하락에 대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정영식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최근 환율이 떨어지고 있는 속도를 보면 (경기에)큰 충격을 주지 않을 것으로 생각할수 있지만, 세계 경제가 침체된 상황에서 환율 하락까지 겹쳐 우리 경제에 타격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정 수석연구원은 “과거에는 글로벌 경기가 안 좋을 때 환율이 오르고 또 반대의 경우도 있는 등 서로 상쇄해 주는 역할을 했었지만, 지금은 둘 다 안 좋기 때문에 수출과 수출기업에 영향이 있을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수출비중이 높은 우리나라의 특성 때문에 환율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신석하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환율이 떨어지는 경우 수출 쪽에는 부정적인 반면 내수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서로 어느 정도 상호적 도움을 해주지만, 종합적으로 보면 분명 경제성장률에 안 좋은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환율 시장 개입에 대해서는 정부 역할에 한계가 있는 만큼 신중함을 주문했다.
신 연구위원은“정부가 외환시장에 개입하는 것은 급격한 변동을 줄이기 위해서 하는 것 정도는 괜찮지만, 장기적으로는 정부의 역할에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환율을 인위적으로 올리는 것은 수출기업에서는 이윤을 높이는 효과가 있지만 정부가 개입하는데 드는 비용은 국민들의 세금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내수 쪽에서는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안순권 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1100원선이 무너지는 등 원달러 환율 하락 속도가 빠를 때는 속도조절을 위해 정부가 개입할 수 있는데 아직 1100선 아래로 떨어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1090원까지는 정부 개입을 해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