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는 95억원을 투입해 전년 대비 34% 증가한 78개 과제를 올해 우주 분야 기초연구 지원 사업으로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선정 과제는 우주기초·융복합 기술 분야 10개, 발사체 분야 9개, 탐사·활용 9개, 위성체 4개, 탑재체 3개다.
전체 78개 과제 중 절반에 가까운 35개 과제가 올해 새로 선정된 과제로 신규과제 지원 규모 35억원은 전년 18억원 대비 2배 증가한 것이다.
이는 기초연구 확대를 통해 나로호 발사 성공 등에도 불구하고 아직 취약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는 우리나라 우주기술 자립화·고도화 기반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미래부는 발사체, 위성체 등 전통적인 우주 시스템 분야 외에 우주기초 및 융복합 분야를 확대 지원해 우주 기초연구 과제가 전 우주 영역을 아우를 수 있도록 했다.
모든 과제를 자유공모 방식으로 모집해 신진 연구자의 참여기회를 확대하는 등 우주분야 전문인력 양성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했다.
이번에 선정된 우주 기초연구 신규과제 목록은 한국연구재단 홈페이지(www.nrf.re.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미래부는 우주핵심기술개발사업의 또 다른 분야인 우주 핵심기술 신규과제 선정 공고를 이번 달 중으로 시행한다.
지원 대상은 기초연구의 발사체, 위성체, 우주기초·융복합 등 우주 전 분야와 우주 핵심 요소기술 개발 분야다.
국내 소속 대학 이공분야 교원, 국공립.정부출연기관, 산업체 정규직 연구원이 대상으로 기초연구 과제에 최대 5년간 연 1억원 내외, 핵심기술 과제에는 최대 3년 연 10억원 내외를 지원한다.
문해주 미래부 우주원자력정책관은 “당장 실용화·사업화가 가능한 기술개발도 중요하지만 이러한 기술개발도 결국은 튼튼한 기초가 뒷받침되어야 가능한 것”이라며 “우리나라도 세계적인 우주강국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는 만큼 우주 기술 자립화를 위해 향후에도 우주 기초연구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