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시민단체 바른사회시민회의가 분석한 서울메트로의 단체협약 내용에 따르면 이 회사는 2012년 기준 부채비율이 281%, 총 부채규모 3조3035억여원으로 파악됐다.
서울메트로는 이처럼 살림이 빚더미에 올라 있지만 단체협약으로 방만 경영을 이어왔다는 게 바른사회의 주장이다.
단체협약서를 보면 '해외연수(배낭여행)는 연 200명으로 확대ㆍ시행한다'는 조항이 포함됐다. 또 협약문에 '자녀의 학교 입학시 기품을 지급한다'는 항목도 있다.
더불어 경영권 침해 사례도 확인됐다. 서울메트로는 자회사를 설립할 때 노조와 사전에 협의토록 했다.
자회사 설립 등은 회사의 경영판단이 필요하지만 노조가 반대할 땐 무산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노조가 협조하지 않으면 경영혁신 등 자구적인 노력이 쉽지 않다는 분석이다.
불가피한 경우에도 강제퇴출을 전제로 한 구조조정은 실시하지 않고 타부서 파견을 원칙적으로 지양하도록 했다.
이와 함께 정년퇴직자에게 20일에 이르는 퇴직 위로휴가를 부여한 것으로 나타나 과도한 '복지잔치'를 벌였다는 비난이 거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