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2/04/20140204084535712231.png)
골퍼들이 가장 싫어하는 구질은 슬라이스다. 초보 때는 슬라이스가 많이 나게 돼있다. 골프클럽을 다루는 것에 대한 이해가 부족, 임팩트시 헤드가 오픈돼 생기는 슬라이스가 생기기 때문이다.
슬라이스를 극복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나면, 그 다음 단계로 훅이 나기 시작한다. 골퍼들은 누구나 할 것없이 이런 단계를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슬라이스와 훅의 원인을 통달하여 이런 고민을 뛰어넘는 경지에 이르면 드로·페이드·스트레이트 등 어떤 구질이든 원하는 곳으로 볼을 보내는 일관성이 있으면 된다는 것을 이해한다.
초보단계의 슬라이스를 뛰어넘어 훅에 시달리는 골퍼를 위해서 그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책을 생각해 보자. 이 단계의 골퍼들은 대개 ‘아웃-인’ 스윙궤적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인체의 움직임으로 보아 지극히 당연한 현상이다. 골프를 처음 접하는 사람에게 클럽을 손에 쥐어주고 스윙하라고 하면 당연히 아웃-인 스윙을 한다. 백스윙을 하면서 팔을 밖으로 뻗었기 때문에 다운스윙에서는 몸쪽으로 팔을 당기면서 타깃 라인에 대해서 아웃-인 스윙이 되는 것이 자연스런 이치다.
그런데 이 단계의 골퍼에게는 실수의 결과로 훅만 생기는 것이 아니라 슬라이스 역시 함께 발생한다. 훅에 대한 두려움이 조금이라도 마음 한구석에 자리잡으면 슬라이스 역시 고개를 내밀게 되는 것이다.
만약 여러분이 이런 고민을 안고 있다면, 스윙궤적을 ‘인-아웃’으로 만드는 것이 궁극적인 해결책이다. 이를 위해 가장 손쉽게 할 수 있는 것이 상체를 앞으로 더 굽히는 것이다. 상체가 꼿꼿이 선 상태에서는 스윙궤적을 인-아웃으로 바꿀 수가 없다. 그러나 상체가 앞으로 더 굽어지면 몸통과 팔 사이에 공간이 더 확보되기 때문에 인-아웃 궤적을 만들기 용이한 조건이 만들어진다.
이렇게 바뀐 어드레스 자세로 스윙을 해 보면 팔 움직임이 평소보다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전처럼 상체의 각도가 꼿꼿이 선 상태에서는 몸통이 회전하는 힘으로 팔이 수동적으로 따라가게 된다. 이럴때 자연스럽게 생길 수 있는 현상이 임팩트시 클럽 페이스가 오픈되는 것이다. 이것을 막기 위해서 손목 움직임에 신경쓰게 되고, 이런 노력끝에 결국 훅에 이르게 된다. 그래서 임팩트시 손목 움직임에 따라 슬라이스와 훅이 생겼던 것이 이전의 스윙이다.
큰 근육인 팔을 놓아두고 작은 근육, 즉 손목 움직임으로 스윙의 결과를 만들어내는 것은 좋은 스윙이 아니다. 이런 스윙을 하면 일관성을 얻기 위한 컨트롤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훅과 슬라이스를 오락가락하면서 고생하게 된다. 그래서 상체를 좀 더 굽혀서 스윙을 하면 여러모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상체를 굽힐 때는 다음과 같은 주의사항이 있다.
평상시 어드레스 자세에서 상체만 앞으로 더 숙이는 것이 아니라, 엉덩이가 좀 더 뒤로 빠지면서 상체가 앞으로 숙여져야만 몸 전체의 앞뒤 무게 밸런스가 맞춰진다. 그런데 상체를 그냥 두고 엉덩이부터 뒤로 빼는 동작을 하게 되면 허리는 앞으로 나가고 엉덩이는 뒤로 튀어나오는 형상이 된다. 이것은 피해야 할 어드레스 자세다. 몸이 너무 경직돼 스윙을 위한 움직임에 제한이 생기고 스윙 스피드가 떨어지는 결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상체를 좀 더 앞으로 굽히면서 엉덩이도 조금 뒤로 빼어 새로운 어드레스 자세를 취해보면 평소보다 볼과 발 사이의 거리가 조금 멀어진다. 그렇게 돼야 올바른 어드레스 자세가 이루어진 것이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2/04/20140204084611627759.jpg)
yjcho2@hotmail.com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