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휘발유 세금비중 55%로 '껑충'…2012년 대비 10%p↑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12-30 06:4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저유가 탓 세금비중 증가…ℓ당 900원 정액세 때문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최근 국제유가 하락 탓에 휘발유 판매가격 중 세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다.

29일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휘발유 소비자 가격 중 세금 비중은 올해 1월 둘째 주 49%에서 12월 넷째주 55.1%로 늘었다.

1월 둘째주 휘발유값은 1889원으로 세금 49%(917.6원), 세전 정유사가격 45%(842원), 유통비용·주유소 이윤 7%(129.5원)로 구성됐다.

반면 지난주 휘발유 값은 1620원으로 세금 55.1%(893.2원)·세전 정유사가격 35.2%(571.3원)·유통비용·주유소 이윤 9.6%(156.3원)로 집계됐다.

주간 휘발유 값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던 2012년 4월 셋째주의 경우 휘발유 값 2062원 가운데 세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45%(933.4원)였다.

이처럼 휘발유 값이 내려갈수록 세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는 것은 세금이 ℓ당 900원 안팎으로 고정적이기 때문이다.

휘발유의 세금은 교통세(529원), 교육세(교통세의 15%), 주행세(교통세의 26%), 부가세(세후 가격의 10%)로 구성된다.

이 때문에 두바이유가 배럴당 40달러가 돼도 우리 휘발유 값은 ℓ당 1300원대에 머물 것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12월 셋째주 기준 국가별 휘발유 값에서 세금이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캐나다는 36.3%, 일본 42.9%, 뉴질랜드 46.7%로 집계됐다.

미국의 세금 비중은 11∼12% 정도에 불과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