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슈퍼스타K' 최초로 결승까지 오른 시즌 7 여성 참가자 천담비]
지난해 시즌 7을 마친 이 프로그램은 올해 ‘슈퍼스타K 시즌 8’이라는 이름 대신 ‘슈퍼스타K 2016’이라는 새로운 타이틀을 내걸었다. 문화와 트렌드를 이끌어 갈 뮤지션을 발굴할 ‘새로운’ 장치를 준비하고 ‘새로운’ 마음과 ‘참신한’ 아이디어로 다시 ‘시작’한다는 포부지만 정작 내디딘 첫걸음은 몸짓 줄이기다. 부산. 대구를 지나 제주까지…넉 달 동안 8개 지역에서 치러졌던 지역 예선을 모두 없애고 5월 서울에서만 예선을 펼친다. “모바일을 통한 지원 접수 강화 차원”이라는 제작진의 말을 믿는 사람은 없다. 시청률 하락에 따른 제작비 절감 때문이 아니겠느냐는 것이 방송가의 지배적인 시선이다.

[사진='K팝스타5' 우승자 이수정]
심사위원 박진영은 “참가자의 무대는 물론 우리 심사위원도 소모적으로 반복되는 느낌이다. 우리가 거의 같은 말을 되풀이하더라. 이것이 마지막을 결심한 가장 큰 이유”라고 밝혔다. 유종의 미를 거두기 위한 노력은 처절하다. 아마추어로 제한했던 참가자격을 대폭 낮춰 ‘이전 시즌에 참가했다가 고배를 마신 사람’, ‘가수로 데뷔했으나 아직 주목받지 못했던 사람’은 물론, ‘현재 국내 기획사에 소속되어 언제가 될지 모르는 데뷔를 준비 중인 연습생’까지 오디션을 볼 수 있게 했다. 뿐만 아니라 우승자에게 YG, JYP, 안테나가 모두 달려들어 데뷔 무대를 꾸민다. 복수의 대형 기획사가 하나의 스타를 만들기 위해 합심하는 것은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전례 없는 일이다. 꺼져 가는 오디션 프로그램의 불씨를 살리는 것이 이렇게 어렵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