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바이두]
중국 스마트폰 제조업체 샤오미(小米)가 베이징 본사에서 지방으로 발령받은 근무자에게만 '특별혜택'을 제공하면서 차별 논란이 불거졌다.
중국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웨이보를 통해 샤오미가 베이징(北京)에서 우한(武漢)이나 난징(南京)으로 지방 발령이 난 직원들에게만 '특별'한 복지 혜택을 준다는 사실이 폭로됐다고 매일경제신문(每日經濟新聞)이 13일 보도했다. 공개된 사진 속에는 샤오미가 발표한 '지방 발령자 관련 복지 정책'이 적혀있다.

[사진=웨이보]
보도에 따르면 샤오미는 2019년 3월 말까지 베이징 본사에서 지방으로 인사 발령난 직원을 대상으로 3만 위안(약 492만원)의 보조금과 별도의 이주지원비는 물론, 외지인(비호적자) 제약 없이 주택을 구매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뿐만 아니라 지방 발령자는 원하면 현지 저가 근로자 아파트에서도 거주할 수 있다. 해당 아파트는 샤오미가 지방 발령 인재에게만 제공하는 아파트로, 우한의 경우 한달 임대료가 1000위안, 난징은 2000~3000위안에 달한다. 이밖에 하루에 400위안에 달하는 호텔 15일치 숙박권도 줄 예정이다
단, 앞서 언급한 복지 혜택들은 지방 발령 후 2년 이상 근무한 경우에만 누릴 수 있다.
샤오미의 새 복지 혜택이 공개되자 기존의 우한, 난징 본사에서 근무하던 직원들은 반발했다. 왜 기존에 지방에서 근무하던 직원에게는 돌아오는 혜택이 없냐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 샤오미 측은 구체적인 대답을 내놓지 않은 상황이다.
최근 샤오미, 화웨이(華為), 알리바바(阿裏巴巴) 등 중국의 공룡 IT기업들이 1선 도시가 아닌 2·3선 도시에 거점을 마련하는 움직임이 포착됐다. 샤오미는 지난 2017년 6월 후베이(湖北)성으로 거점을 옮기기 시작했다. 두 번째 본사를 우한에, 세 번째 본사를 난징에 지었다.
샤오미는 올해 안으로 우한 본사의 직원 수를 1000명으로 늘릴 계획으로 전해졌다. 현재 우한에서 근무하는 600명 가운데 70%의 직원이 우한에서 직접 고용된 인력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