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금융권에 따르면 NH농협·KB국민·IBK기업 등 시중은행과 BNK금융·DGB금융·JB금융 등 지방금융지주사는 일본 수출규제로 피해를 입은 기업을 대상으로 신규대출상품 출시, 금리 감면, 만기 연장, 상환 유예 등 종합금융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농협은행은 12일 출시를 목표로 3조원 한도의 기업대출상품을 준비 중이다. 이 상품은 소재·부품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운전·시설자금을 지원한다. 농협은행은 각종 조건을 맞춘 우대금리를 제외하고도 1.0%포인트의 특별우대금리를 제공하며 대출상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만기일시상환 비율을 50%까지 확대했다.
국민은행도 소재·부품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신상품을 예고했다. 국민은행은 신용등급, 담보비율, 기술등급, 일자리창출 실적에 연계해 우대금리 최대 2.8%포인트를 적용하는 총 1조원 한도의 ‘KB 소재·부품기업 우대대출’을 오는 14일 선뵐 예정이다.
지방금융지주와 은행도 실질 자금 지원과 대책반 구성 등으로 피해를 겪고 있는 지방중소기업에게 힘을 싣고 있다.
BNK금융은 일본 수출규제로 피해가 우려되는 기업에게 신속한 금융지원을 위해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에 비상대책반을 구성해 운영한다. 또 자회사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에 2000억원 규모 경영안정자금을 편성하는 등 일본 수출규제 피해 기업을 돕기 위한 자금 지원에 나섰다. 이자비용 부담 경감을 위한 신규자금 대출금리 최대 2.0%감면도 실시한다.
JB금융은 전북은행에 1000억원 규모 자금을 편성해 도내 수출입 중단 등 피해기업 금융 지원에 나섰다. 대출 신규 및 연장 시 최고 2.0% 이내로 금리를 감면하거나 대출 만기 도래 시 신용등급 관련 없이 기한을 연장하는 방안도 실시한다. 원금 상환 도래 기업에겐 최대 1년간 상환을 유예한다. 광주은행도 총 1000억원 금융지원과 금리감면 등 특별지원을 시행한다.
DGB금융은 일본 수출규제와 관련해 대구은행에서 총 3000억원 규모 금융 지원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