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이후 산업간 노동이동 경직…성장 둔화 요인 작용"


금융위기 이후 생산성이 낮은 서비스업종에서 생산성이 높은 업종으로의 이직이 어려워졌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30일 한국은행 조사통계월보 12월호에 실린 '산업간 노동이동 경직성의 거시경제적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2011∼2018년 기타 서비스업(금융·보험·IT 제외 모든 서비스업)에서 제조업·금융·IT서비스업으로의 산업간 노동 대체 탄력성이 이전 시기(2002∼2010년)의 40% 수준으로 줄었다.

이는 유통회사에서 제조업·금융·보험·IT서비스업으로 이직이 힘들어졌다는 것으로, 산업간 노동 경직도가 올랐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고서는 "생산성이 높은 업종에서 기술혁신이 빠르게 일어나면서 이 업종으로 이직하는 데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해졌고, 대졸자가 늘어 구직경쟁이 치열해진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며 "맞벌이 가구가 증가해 한 배우자가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진 점도 배경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생산성이 높은 업종에서 노동 수요가 둔화한 점도 배경으로 꼽았다. 지난해 금융·보험업 채용자 수가 2010년과 비교해 47.6% 감소했고, 같은 기간 IT서비스업은 14.1%, 제조업은 7.7% 줄었다.

산업간 노동이동이 어려워지며 성장세도 낮아진 것으로 보고서는 평가했다. 2011∼2018년 국내총생산(GDP)이 2002∼2010년보다 34.9% 증가했는데, 노동시장 경직성이 높아지지 않았다면 증가율이 37.8%로 2.9%포인트 오를 수 있었다고 봤다.

보고서는 "금융위기 이후 산업간 노동의 대체성이 과거의 40% 수준으로 낮아졌다"며 "구인·구직자 간 미스매치를 완화하는 등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자료=한국은행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