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중소기업 물류애로 해소 나선다… 수출물류 역점 지원

  • 물류바우처 등 물류부담 완화에 169억원 투입 등

  • 특송물류사와 협업해 할인된 가격으로 이용 지원

  • 미국‧유럽항 선박에 중소기업 전용 선적공간 마련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홍삼음료 등을 판매하는 중소기업 A사는 지난해 북미 애틀랜타 유통업체와 8만 달러 상당의 수출 계약에 성공했지만 배를 구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었다. 납품 지연은 물론 장기적으로 수입업체의 신뢰를 잃을 수 있는 위기에 부딪힌 것이다. 이때 중소벤처기업부의 ‘중소기업 해상운송 지원사업’으로 바로 출항이 가능한 HMM 선박을 소개받았고, 이를 통해 A사는 무사히 제품을 납품할 수 있었다.
 
항공‧해상 운임이 상승하면서 컨테이너 수급과 선박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을 위해 중기부가 수출 물류 지원을 이어나간다. 중기부는 중소기업이 물류난을 극복하고 수출을 이어갈 수 있도록 올해도 수출 물류를 역점 지원한다고 2일 밝혔다.
 
중기부는 올해 물류 바우처(119억원)와 풀필먼트(50억원) 등 물류비 지원에 총 169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또한 중소기업이 할인된 가격으로 특송 물류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국적선사와 협업해 주요 항로 선적공간을 확보하고 장기운송계약 체결도 지원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물류 바우처 지원에 119억원을 투입한다. 추경예산으로 신설된 ‘물류전용 수출바우처 사업’은 지난해보다 10억원 늘어난 규모로 본예산에 반영됐다. 물류바우처를 신청한 중소기업은 물류비 지출액의 70%를 기업당 최대 140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온라인 수출기업의 풀필먼트 지원에도 50억원을 투입한다. 중소기업은 최대 2500만원을 지원받아 ‘상품 보관 - 고객 주문 - 제품 선별 – 포장 - 배송’까지 일괄처리에 사용할 수 있다.
 
물류비 직접지원 외에도 페덱스(FeDEX), DHL, UPS 등 특송물류사와 협업해 특송운임 할인을 추진한다. 고비즈코리아 누리집을 통해 중소기업은 물류사가 제공하는 특송 서비스를 정가 대비 최대 66% 할인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다.
 
물류난으로 선적공간 확보가 어려운 중소기업을 위해서는 국적선사 HMM과 협업해 중소기업 전용 선적공간을 마련한다. 중소기업은 물류애로 해소 시까지 HMM 선박에 주당 650TEU 규모로 선적을 우선 배정받는다.
 
특히 올해부터는 임시선박으로 제공되던 미국 서안향 선적공간이 정규선박으로 전환된다. 중소기업은 선박 일정을 미리 확인하고 물류계획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오는 2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는 중소기업과 국적선사의 장기운송계약 체결을 지원한다. 장기계약을 통해 기업은 계약체결 당시의 운임(고정)으로 해상물류를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송비에 사용할 수 있는 물류 바우처도 1400만원 지원받을 수 있다.
 
변태섭 중기부 중소기업정책실장은 “기업들은 글로벌 물류대란이 올해에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한 중소기업 수출 호조세를 올해에도 이어가기 위해 중기부는 수출물류 애로 완화를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