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경기도 특사경, 농자재 불법 유통 · 판매업체 50곳 무더기 적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수원)강대웅·송인호 기자
입력 2022-05-30 07:3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무등록 농약 판매, 약효 보증 기간 경과, 취급 기준 위반 등

  • 도 특사경, 부정·불량 농자재 불법 유통행위 수사 강화키로

농약 불법 판매 행위 모습 [사진=경기도]

경기도 특별사법경찰단이 30일 약효 보증기간 18개월이 지난 제초제를 보관 판매하거나 무등록 영업 행위를 해온 불법 농자재 유통·판매업체들을 대거 적발했다고 밝혔다. 

도 특사경은 지난 4월 28일부터 이달 13일까지 도내 31개 시·군 농자재 판매점, 원예 자재점, 화원 등 360곳을 집중 단속한 결과, 농약관리법과 비료관리법을 위반한 업체 50곳을 단속했다고 발표했다.

위반 내용은 △농약 무등록 판매 8곳 △약효 보증기간 경과 또는 거짓 표시 농약 보관·판매 17곳 △농약 취급 제한기준 위반 14곳 △판매업등록 중요 사항 중 변경사항 미등록 7곳 △보증표시 없는 비료 판매 4곳이다.

김포시 소재 ‘A’ 농약판매점은 약효 보증기간이 18개월이 지난 제초제, 6개월 지난 살충제 등 부적정 농약 73봉지를 5월 초까지 진열대와 창고에 보관하다 적발됐으며 과천시 소재 ‘B’ 원예자재점은 농약판매업을 등록하지 않고 살충제, 살균제 등 3개 품목 농약을 진열·판매하다 단속됐다. 

또 이천시 소재 ‘C’ 농약판매점은 변경 등록을 하지 않고 당초 소재지와 다른 장소에 농약 보관창고를 운영하다 덜미를 잡혔다.

농약판매업자는 환풍 및 차광시설, 잠금장치를 완비한 창고에 ‘농약창고’ 표시 후 농약을 보관해야 하지만, 양주시 소재 ‘D’ 농자재판매점은 야외 천막에 농약을 보관해 왔던 것으로 조사결과 나타났다.

특히 부천시 소재 ‘E’ 다육식물점은 재포장 한 비료에 생산 연월일, 생산업자 등 필수 기재 사항이 없는 비료를 판매하다 수사망에 걸렸다.

김민경 도 민생특사경 단장은 “농작물에 큰 피해를 줄 뿐만 아니라 공정한 농자재 유통질서를 해치게 하는 부정·불량 농자재 유통은 근절해야 한다”며 “앞으로도 농가와 일반 소비자들의 피해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농자재 불법 유통행위에 대한 수사를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농약관리법에는 농약 무등록 판매업 및 약효 보증기간 경과 농약 보관은 3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 벌금, 변경사항 미등록은 1년 이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 벌금, 농약 취급제한기준 위반은 300만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하도록 돼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