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공급망 붕괴 정상화에 따른 해운 호황이 끝남에 따라 HMM의 1분기 실적이 어닝쇼크를 기록했다.
HMM은 연결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90% 감소한 3069억원을 기록했다고 15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8% 감소한 2조816억원으로, 당기순이익은 90.89% 감소한 2853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분기 평균 4851p(포인트)였던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가 올해 1분기 평균 969p로 하락. 지난 2020년~2022년 코로나19 대유행 이슈가 해소되면서 글로벌 해운시장의 운임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정상화된 것이 주요 원인이다.
HMM 관계자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가 지속되면서 에너지 가격 부담으로 약화한 소비가 회복되지 않고 있으며, 각 국가들의 금리 인상 및 긴축 재정 정책으로 글로벌 수요 약세가 이어질 전망”이라며 “회사는 운영효율 증대, 단위운송비 등 비용절감 방안을 더욱 정교화해 글로벌 최상급 수준의 경쟁력을 지속해 유지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HMM은 연결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90% 감소한 3069억원을 기록했다고 15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8% 감소한 2조816억원으로, 당기순이익은 90.89% 감소한 2853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분기 평균 4851p(포인트)였던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가 올해 1분기 평균 969p로 하락. 지난 2020년~2022년 코로나19 대유행 이슈가 해소되면서 글로벌 해운시장의 운임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정상화된 것이 주요 원인이다.

[사진=HMM]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