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충일에…부산 아파트 욱일기 게양 논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부산=박연진 기자
입력 2024-06-06 12:19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현충일인 6일 부산의 한 아파트에 욱일기가 걸려 논란이 일었다.

    당시 일장기 게양은 이웃 주민들의 항의와 관리사무소의 요청으로 결국 철거됐지만, 이번 사건은 현충일에 욱일기가 게양됐다는 점에서 충격을 주기도 했다.

    욱일기는 과거 일본이 아시아 각국을 침략할 때 전면에 내세운 깃발로 일본의 군국주의와 제국주의를 상징한다.

  • 글자크기 설정
  • 서경덕 "처벌법 만들어야"

부산의 한 아파트에 내걸린 욱일기 모습 사진서경덕교수
부산의 한 아파트에 내걸린 욱일기 모습. [사진=서경덕교수]


현충일인 6일 부산의 한 아파트에 욱일기가 걸려 논란이 일었다.
 
이날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욱일승천기 건 부산의 한 아파트'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해당 장소는 부산 수영구의 한 아파트로 알려졌다.
 
게시물을 공유한 네티즌들은 "오늘이 무슨 날인데 이 깃발을 올렸나", "와 진짜 세상 말세다", "지난번 3.1절에 누군가 일장기 올린 게 생각난다" 등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전 세계 욱일기 퇴치 캠페인'을 벌이고 있는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현충일 아침부터 SNS를 통해 많은 제보가 들어와 알게 됐다"고 밝혔다.
 
제보자들은 평상시에 일장기가 종종 걸렸던 곳인데 욱일기가 걸려 있어서 이를 제지할 수 있는 방법이 없냐고 문의해 온 것이다.
 
이에 대해 서 교수는 "이럴때 일수록 우리가 비난과 분노만 할 것이 아니라, 이번 일을 계기삼아 강력한 '처벌법'을 만들어 다시는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서울특별시 일본 제국주의 상징물의 사용 제한에 관한 조례'에는 욱일기 등 '일본 제국주의를 상징하는 군사기와 조형물 또는 이를 연상시키려는 목적으로 사용된 그 밖의 상징물'을 공공장소에서 전시하거나 판매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최근 벤츠 차량에 욱일기를 붙이고 국내 도로를 활보하는 상황이 벌어지는 등 계속해서 욱일기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한편 지난해 3·1절 당시 세종시의 한 아파트에 태극기가 아닌 일장기가 걸린 사건을 언급하며 분노를 표출하는 네티즌들이 많았다. 당시 일장기 게양은 이웃 주민들의 항의와 관리사무소의 요청으로 결국 철거됐지만, 이번 사건은 현충일에 욱일기가 게양됐다는 점에서 충격을 주기도 했다.
 
욱일기는 과거 일본이 아시아 각국을 침략할 때 전면에 내세운 깃발로 일본의 군국주의와 제국주의를 상징한다. 욱일기는 태양이 떠오르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으로, 일본이 아시아를 정복하고 식민 지배를 펼치던 시기에 사용되었던 군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