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나 다른 생성형 인공지능과 달리 딥시크(Deepseek) 측이 과도하게 개인정보를 수집한다는 우려가 큰 가운데, 정부 기관과 주요 기업이 딥시크 차단에 나섰다.
7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외교부, 국방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여러 중앙행정기관과 경기도 등 지자체는 최근 딥시크의 접속을 차단했다.
앞서 행정안전부와 국가정보원이 '딥시크 등 생성형 AI 사용에 유의해달라'는 공문을 보낸 것을 기점으로 공공기관뿐만 아니라 카카오 등 주요 기업도 차단 조치에 나서고 있다.
전하규 대변인은 지난 6일 국방부 정례브리핑에서 “생성형 AI와 관련해 최근 기술적 또는 보안상 우려가 있는 것을 알고 있다”며 “보안상 문제가 있는 사이트 또는 프로그램은 지금까지 그래왔듯이 필요한 후속 대책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방부는 정보 유출 등 기술적 우려가 다수 제기된다는 이유로 전날부터 군 업무용 인터넷 PC에 한해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일부 방산 기업도 딥시크 차단에 나섰다. SNT그룹의 계열사인 SNT다이나믹스, SNT모티브는 지난 6일 내부 공지를 통해 “딥시크가 광범위하게 수집하는 이용자의 데이터를 중국으로 유출할 우려가 있다”며 “이날 오후 1시부터 딥시크에 대한 사내 접속 차단한다”고 전했다.
딥시크는 출시 이래 줄곧 AI 학습 과정에서 이용자 정보를 과도하게 수집한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딥시크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보면 AI 모델 학습 등을 위해 사용자의 생년월일과 이름,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비밀번호 등을 수집한다고 고시됐다.
또 이용자들이 입력한 키보드 패턴, 오디오, 파일, 채팅 기록과 다른 콘텐츠를 수집하고, 회사 재량에 따라 해당 정보를 법 집행기관 및 공공 기관과 공유할 수 있다고 명시했다.
이렇게 수집한 정보는 중국에 있는 서버에 저장된다.
김승주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딥시크가 개인정보를 과도하게 수집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이용자의 키보드 입력패턴의 경우 민감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며 "중국에 보관된 이용자의 정보를 중국 정부가 원할 때 언제든 접근할 수 있다는 것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에 호주와 일본, 대만 등 여러 나라에서는 딥시크의 위험성을 경계하며 속속 차단에 나서고 있다.
개인정보위도 지난달 31일 중국 딥시크 본사에 개인정보 수집 항목과 절차, 처리와 보관 방법 등의 확인을 요청하는 질의서를 발송했으나 아직 답변받지 못했다.
과거 미국 오픈AI에 유사한 질의를 보낸 뒤 회신을 받기까지 6개월 이상 걸린 사례를 미뤄 봤을 때, 딥시크 회신은 3~6개월 정도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7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외교부, 국방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여러 중앙행정기관과 경기도 등 지자체는 최근 딥시크의 접속을 차단했다.
앞서 행정안전부와 국가정보원이 '딥시크 등 생성형 AI 사용에 유의해달라'는 공문을 보낸 것을 기점으로 공공기관뿐만 아니라 카카오 등 주요 기업도 차단 조치에 나서고 있다.
전하규 대변인은 지난 6일 국방부 정례브리핑에서 “생성형 AI와 관련해 최근 기술적 또는 보안상 우려가 있는 것을 알고 있다”며 “보안상 문제가 있는 사이트 또는 프로그램은 지금까지 그래왔듯이 필요한 후속 대책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 방산 기업도 딥시크 차단에 나섰다. SNT그룹의 계열사인 SNT다이나믹스, SNT모티브는 지난 6일 내부 공지를 통해 “딥시크가 광범위하게 수집하는 이용자의 데이터를 중국으로 유출할 우려가 있다”며 “이날 오후 1시부터 딥시크에 대한 사내 접속 차단한다”고 전했다.
딥시크는 출시 이래 줄곧 AI 학습 과정에서 이용자 정보를 과도하게 수집한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딥시크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보면 AI 모델 학습 등을 위해 사용자의 생년월일과 이름,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비밀번호 등을 수집한다고 고시됐다.
또 이용자들이 입력한 키보드 패턴, 오디오, 파일, 채팅 기록과 다른 콘텐츠를 수집하고, 회사 재량에 따라 해당 정보를 법 집행기관 및 공공 기관과 공유할 수 있다고 명시했다.
이렇게 수집한 정보는 중국에 있는 서버에 저장된다.
김승주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딥시크가 개인정보를 과도하게 수집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이용자의 키보드 입력패턴의 경우 민감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며 "중국에 보관된 이용자의 정보를 중국 정부가 원할 때 언제든 접근할 수 있다는 것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에 호주와 일본, 대만 등 여러 나라에서는 딥시크의 위험성을 경계하며 속속 차단에 나서고 있다.
개인정보위도 지난달 31일 중국 딥시크 본사에 개인정보 수집 항목과 절차, 처리와 보관 방법 등의 확인을 요청하는 질의서를 발송했으나 아직 답변받지 못했다.
과거 미국 오픈AI에 유사한 질의를 보낸 뒤 회신을 받기까지 6개월 이상 걸린 사례를 미뤄 봤을 때, 딥시크 회신은 3~6개월 정도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