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쇼에 주식·채권 급락… 美 자산시장 '엑소더스'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AFP 연합뉴스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교역국들과의 관세를 90일 동안 유예하겠다고 밝혔지만, 세계 경기 둔화에 대한 불안이 월가를 강하게 흔들면서 미국 자산시장에서 빠르게 자금이 빠져나가고 있다.

관세 자체의 부담도 크지만, 부과와 철회가 반복되는 방식과 뚜렷한 기준 없는 관세율 적용, 중국과의 대립 심화 등이 미국의 정책 전반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린 원인으로 지목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금융시장의 급락을 막기 위해 관세 유예 방침을 내놓으면서 9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큰 폭으로 상승했으나 하루 만인 10일 다시 급락세로 돌아섰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3.5% 하락했고, 전날 잠시 숨을 고르던 미국 장기 국채 금리는 다시 상승하면서 채권 가격은 떨어졌다.

달러 가치는 미국 자산을 팔려는 움직임이 이어지며 3일 연속 하락했다. 반면,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스위스프랑은 10년 만에 가장 큰 상승 폭을 기록했다.

경기 침체 우려는 국제 유가에도 영향을 미치며 하락세를 이어갔다.

최근 이틀 동안의 뉴욕 증시 변동성은 팬데믹 시기나 2008년 금융위기 당시와 비슷한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의 혼란스러운 관세 정책이 미국 경제에 대한 신뢰를 빠르게 떨어뜨리고 있으며, 향후 3개월간 시장이 계속 불안정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스미드 캐피털 매니지먼트의 빌 스미드 최고투자책임자는 "이번 사태가 끝난 뒤에도 일상으로 쉽게 돌아갈 가능성은 낮다"며 "지금은 거대한 약세장의 시작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미국 고위험 채권 펀드에서도 기록적인 자금 유출이 발생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LSEG 리퍼 자료를 인용해 3일부터 9일까지 일주일 동안 미국 고수익·고위험 채권 펀드에서 96억 달러, 레버리지론 펀드에서 65억 달러의 자금이 빠져나갔다고 전했다. 두 수치 모두 역대 최대 규모다.

관세 전쟁으로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자 투자자들은 위험 자산에서 손을 떼고 현금 자산으로 옮겨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고위험 채권은 발행 기업의 재무 상태가 취약해 경제 충격에 쉽게 노출된다.

월가에서는 향후 흐름을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주식, 채권, 원자재 등 주요 자산들의 향방에 대한 전망도 흐려지고 있다.

보케 캐피털 파트너스의 킴 포러스트 최고투자책임자는 "신흥국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정책 예측이 가능한데, 미국에서는 이제 우량 기업에 대한 기본적인 분석조차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미국이 주도하는 무역 전쟁은 글로벌 공급망 붕괴, 국경 간 무역 위축, 수입 물가 상승 등으로 이어지면서 물가 불안과 경기 둔화 가능성을 더욱 키우고 있다.

리서치 어필리에이츠의 퀘 응우옌 최고투자책임자는 "무역 전쟁이 결국 침체를 불러올 것"이라며 "대통령은 위기가 정점에 다다르기 전까지는 입장을 바꾸지 않을 것이고, 시장은 이미 그런 가능성을 반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TCW그룹의 글로벌 금리 책임자 제이미 패튼은 "최악의 시기를 지났다고 보긴 어렵다"며 "지금처럼 불확실성과 변동성이 큰 상황에서 위험 자산은 더욱 위축될 수밖에 없다. 현재 정부의 정책이 바로 그런 상황을 만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