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힘들 때마다 지원…금융권, 관세·산불 소방수 자처

  • 보증서·저금리 대출·등급하향 유예 지원

  • 車·부품사 자금수혈 핀셋지원도

  • 4대 금융지주 경상권 지역에 50억

사진KB금융그룹
[사진=KB금융그룹]
상생금융이 금융권 전반으로 확산하고 있다. 트럼프의 상호관세 정책이 한국의 수출 핵심 기업 뿌리를 흔들려하자 금융지주사는 기업 맞춤형 지원책을 적극적으로 내놓고 있다. 역대 최악의 경북·경남 산불 때에도 피해 복구 최전방에 서며 현지 중소기업, 주민들의 버팀목 역할을 했다. 

KB금융지주는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에 총 230억원을 특별출연해 관세 피해 수출기업에 8400억원 규모의 보증서를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미국의 관세 타격을 직접적으로 받은 자동차 업체에는 1500억원 규모의 저금리 동반성장 상생 대출을 공급하기로 했다. 

신한금융지주는 '신한 기업고충지원센터'를 기업과의 소통 교두보로 두고 있다. 최근 고환율 기조가 이어지며 수입대금 결제에 어려움을 겪는 업체를 지원하기 위해 수입신용장 만기연장·세무·회계 등 경영컨설팅을 통한 비금융 지원 등을 이어오고 있다. 직접적 금융지원으로는 △3조원 규모의 특별 금리 인하 하이-패스(Hi-pass) 쿠폰 지급 △중소기업 신규 대출 지원에 6000억원 등이 있다. 

하나금융지주도 관세 피해 업종별 맞춤형 지원방안을 마련 중이다. 유동성 위기에 직면한 기업에 대해서는 △원금상환 없이 기한연장 △분할상환 유예 등 다양한 금융혜택을 병행하고 있다. 이달에는 신용보증기금과 240억원 규모의 신규 보증협약을 체결해 자동차 부품사의 운전자금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무역금융의 융자한도 산출이 불가·부족한 중소기업의 융자한도를 예외시키거나 등급하향을 유예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우리금융지주도 기업의 짐을 함께 지는 지원책 마련에 분주하다. 우리금융은 '상호관세 피해 지원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환율과 미국 상호관세 동향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수출기업의 우대 보증서 지원, 반도체·자동차 등 상생대출, 무역보험공사 보증서 담보대출 등에는 2조5700억원을 쏟는다. 향후 7조3000억원 규모의 추가 지원 방안도 내놓을 예정이다. 

금융권은 재난·구호에도 누구보다도 빠르게 지원책을 내놓는 등 소방수 역할을 자처했다. 3월 경상권에서 발생한 산불로 피해 산림면적은 3만6009헥타르(㏊)에 달했다. 이는 사상 최대 피해 규모로 KB금융그룹, 하나금융그룹, 우리금융그룹은 각각 10억원, 신한금융지주는 20억원 지원에 나서며 산불 피해 주민들의 마음을 어루만졌다. 

KB국민은행은 경상북도 소상공인에 연 1~2%대의 저금리 대출을 공급하며 이자 부담을 덜어줬다. 신한은행과 하나은행도 중소기업, 소상공인에 신규 여신 지원, 만기 연장을 제공했다. 신한은행 임직원들은 사회공헌 활동인 '솔선수범 릴레이'를 통해 기부금을 직접 모으기도 했다. 하나은행 노조와 임직원 역시 1억1691만원을 모금해 대한적십자사에 전달하는가 하면 긴급 급식활동을 실시했다. 우리금융은 산불 진화에 헌신한 소방관 가족의 생계비, 학자금을 위해 3억원을 추가로 전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