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림, 농촌 경제 활성화 앞장… 계약농가 평균 연소득 3억 눈앞

  • 육계·토종·종계 농장과 파트너십

  • 전국 571곳으로 17년간 3배 늘어

  • 10년간 도산 '0'… 상생경영 방증

전북 익산시에 있는 최율농장에서 
최찬도씨오른쪽와 그의 아들인 최율씨가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하림
전북 익산시에 있는 최율농장에서 최찬도씨(왼쪽)와 그의 아들인 최율씨가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하림]

'0'

최근 10년간 하림 계약 농가 중 도산한 곳의 숫자다. 문 닫은 곳이 단 한 곳도 없다는 점은 하림이 상생 경영에 기울이는 노력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하림과 계약을 맺은 농가의 평균 사육 소득은 17년간 약 3배 증가했다. 하림이 전국 571개 농장(육계 325·삼계 100·토종 80·종계 66)과 파트너십을 맺고 소득 증대에 기여하며 농촌지역 경제 활성화에 도움을 주는 셈이다.

지난 2007년 계약농가 평균 사육 소득은 8700만원이었으나 2010년 1억2800만원을 돌파했고, 지난해 2억6000만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도시 근로자 가구 연평균 소득(7600만원) 대비 3배 이상, 전국 농가 연평균 소득(5300만원)보다 약 5배 높은 수준이다.

하림 계약농가 연소득 그래프를 보면 2013년부터 10년 넘게 우상향 중이다. 연도별로는 △2013년 1억5100만원 △2015년 1억7000만원 △2017년 1억 9100만원 △2019년 2억1400만원 △2021년 2억3000만원 △2022년 2억4000만원이다.
그래픽아주경제 그래픽팀
[그래픽=아주경제 그래픽팀]

하림은 농가와의 동반성장을 주도하면서 지역경제 활성화 마중물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하림 측은 지난해 기준 약 5000명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경제효과는 3927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했다.

하림은 올해 계약농가 평균 사육 소득 목표를 2억6300만원으로 설정했다. 하림이 목표치를 상향한 배경에는 근거 있는 자신감이 있다. 사육환경 개선을 통해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창계사 확대와 사료요구율(FCR) 향상이 대표적이다. 무창계사는 창문이 없고 환기구만 있는 사육장으로 방역과 온도·습도 조절이 탁월해 생산성이 높다. 지난 2005년 기준 계약농가의 하우스형 보온덮개 계사 비율은 56.8%로 무창계사 비율(10.6%)보다 높았으나 하림은 농가 사육환경 개선 지원사업으로 무창계사 비율을 93%까지 확대했다.
하림 계약농가의 사육 현장 사진하림
하림 계약농가의 사육 현장 [사진=하림]

하림은 FCR도 낮추며 생산성을 해마다 높이고 있다. FCR은 돼지나 닭 등의 체중을 늘리는 데 필요한 사료량을 말한다. FCR은 낮을수록 사료가 적게 필요하다는 의미로, 수치가 작을수록 좋다. 하림에 따르면 지난 2019년 FCR은 1.5였으나 지난해 1.4로 줄였다. FCR을 0.1 개선하면 연간 사료비 120억원가량을 절감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특히 하림은 동물복지 농가에 닭고기 출하 시 ㎏당 80원의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전북 익산시에서 최찬도·김미정 부부와 아들 최율씨가 운영하는 최율농장은 지난 2021년 11월 동물복지로 전환한 뒤 수익과 생산성을 동시에 끌어올렸다. 동물복지 농장은 일반 농장 대비 넓고 동물 습성 그대로 닭을 자유롭게 키우다 보니 스트레스가 적어 폐사율도 적기 때문이다. 

하림이 농가 지원에 앞장서는 이유는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의 기업 경영 철학과도 맞닿아 있다. 김 회장은 "하림은 농가와 상생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드는 데 힘쓰고 사육농가 소득과 경쟁력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며 "더불어 농가들이 잘못했더라도 최소한 망하는 일은 없도록 기업을 운영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