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펀드에 NPL사도 추진 중이지만…저축銀 부실 정리 '빨간불'인 이유

  • 중앙회, 5월 내 4차 펀드 조성…올해 1조원↑ 정리 목표

  • 남은 사업장 브릿지론·지방…한신평, 정리 속도 둔화 예측

지난 3월 서울 한 건물에 입주한 저축은행 지점 간판 모습 사진연합뉴스
지난 3월 서울 한 건물에 입주한 저축은행 지점 간판 모습 [사진=연합뉴스]

저축은행중앙회가 업계의 부실채권 정리를 위해 최근 4차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펀드 조성과 부실채권(NPL) 전문회사 설립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하지만 부실 사업장 중 브릿지론 비중이 높은 데다가, 지방·비주거시설 위주라 부실 채권 정리 속도는 더뎌질 것으로 보인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중앙회는 이달 내로 4차 부동산PF 공동펀드를 조성할 예정이다. 중앙회는 4차 펀드를 포함해 올해 총 1조원 이상의 부실 자산을 정리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4차 펀드 규모도 기존 펀드 대비 대폭 확대된 규모로 조성할 예정이다. 앞서 중앙회는 지난해 1월(1차·330억원)과 6월(2차·5000억원), 그리고 올해 3월(3차·2000억원) 세 차례에 걸쳐 정상화 펀드를 조성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런 업계·당국 차원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올해 저축은행의 부실 정리 속도는 더뎌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는 정리 이후 남은 저축은행 사업장이 착공 전인 브릿지론 사업장이 대부분인 데다가, 대다수가 지방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브릿지론 사업장은 인허가 전이거나 본 PF사업에 들어가기 전 단계에 머물러 있어 사업 불확실성이 높다. 이에 투자자나 매수자로서는 리스크가 크다고 판단돼 매입을 꺼리게 된다. 지방 사업장도 인구 감소, 고령화 등으로 인해 부동산 수요가 적어 매수자를 찾기 어려운 편이다. 이에 한국신용평가는 최근 저축은행 PF사업장이 수도권·주거시설 위주로 정리돼, 남아 있는 지방·비주거시설 사업장의 경우 부동산 경기가 회복되지 않는 한 매수자를 찾기 힘들 것으로 분석한 바 있다.

금융투자협회의 금융권 경공매PF 사업장 목록에 따르면, 경공매 대상 사업장 수는 올해 3월 385개(13조4000억원)이며, 이 중 85%가 브릿지론 사업장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수도권이거나 비주거시설인 사업장도 80%에 달했다. 이 가운데 저축은행 사업장 금액(3조8000억원)이 약 30%였으며, 브릿지론 비중도 90%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런 탓에 중앙회가 3월 추진한 3차 공동 펀드도 투자자 유치에 어려움을 겪어 기존 목표액(5000억원)에 한참 못 미치는 2000억원 규모로 조성된 바 있다. 1~3차 펀드 조성액(7330억원)도 업권 내 부실 우려 등급을 받은 사업장 금액(2조9000억원)의 25% 수준에 그쳤다. 

이런 가운데 조기 대선이 6월로 예정되면서 중앙회가 추진 중인 부실채권(NPL) 전문회사 설립도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업계에 따르면 중앙회의 NPL사는 당초 상반기를 목표로 출범될 예정이었지만, 최종 출범 시기는 9월 중이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NPL사 출범을 위해서는 금융 당국의 허가가 필요한데, 대선 전까지 당국 차원의 동력이 상실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저축은행 업계 관계자는 "상호금융권까지 합하면 시장에 PF사업장 공급량이 넘쳐나고 있어 매수자들이 더욱 낮은 가격에 사업장을 인수하기 위해 버티고 있는 상황"이라며 "부동산 시장마저 살아날 기미가 보이지 않아 펀드 조성 등 여러 조치에도 사업장 정리는 어려울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