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선·김희철, 美 USTR과 회동…조선업계, 관세 협상 '전략 카드'로 부상

  • HD현대, USTR과 첫 회동…미국 조선업 협력안 제시

  • 한미 기술 협력 가속…HD현대-헌팅턴 잉걸스 MOU 주목

  • 국산 크레인 역량 강조…"중국산 독점 대안 될 것"

  • 한화오션, 필리조선소 통해 미국 현지화 박차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이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16일 만나 한·미 간 조선산업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사진HD현대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이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16일 만나 한·미 간 조선산업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사진=HD현대]


HD현대와 한화오션이 미국 무역대표부(USTR)와 만나 한미 조선산업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국내 조선업계 인사가 USTR 대표와 공식 회담을 가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향후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한국 조선업계가 전략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정기선 HD현대 대표이사 수석부회장은 이날 오전 제주에서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와 면담했다. 그리어 대표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회의 참석차 방한 중이다.

정 수석부회장은 이 자리에서 HD현대중공업과 미국 방산 조선사 헌팅턴 잉걸스 간의 협력 사례를 소개했다. 아울러 공동 기술 개발, 선박 건조 협력, 기술 인력 양성 등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HD현대는 헌팅턴 잉걸스와 선박 생산성 향상 및 첨단 조선 기술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헌팅턴 잉걸스는 미시시피주에서 미국 최대 수상함 건조 조선소를 운영하고 있다.

정 수석부회장은 미국 내 중국산 항만 크레인의 독점 문제를 언급하며 HD현대삼호중공업의 제조 역량을 소개했다. 골리안 크레인의 설계부터 제작, 운송, 설치, 시운전까지 전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국내 유일 업체로 꼽힌다.

그는 미국과의 공급망 확대를 위한 협력도 제안했다. "HD현대는 미국의 조선산업 재건 의지를 높게 평가하고 있으며 필요한 역할이 있다면 언제든지 참여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같은 날 오후에는 김희철 한화오션 대표이사가 그리어 대표를 만났다. 김 대표는 미국 내 조선 생산기지 확대와 기술 이전 계획을 중심으로 공급망 안정 및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을 제시했다.

한화오션은 현재 거제 사업장에서 운영 중인 스마트 생산시스템을 지난해 인수한 미국 필리조선소에 적용할 방침이다. 현지에서도 고도의 선박 건조 기술과 생산성을 실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 중이며, 장기적 생산 역량 확보를 위한 추가 거점 설립도 검토하고 있다.

이와 함께 한화오션은 지난해 8월 국내 조선소 최초로 미국 해군 군수지원함 '윌리 쉬라호'의 유지·보수·정비(MRO) 사업을 수주했다. 정비 과정에서 발생하는 추가 수요를 반영한 수정 계약을 통해 추가 매출도 기대된다.

김 대표는 "한화오션은 미국 조선산업의 재도약을 함께 이끌어가는 전략적 파트너가 되기를 희망한다"며 "검증된 기술과 스마트 생산 체계를 바탕으로 미국 현지에서도 실질적인 협력 성과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HD현대와 한화는 최근 미국 정부 고위 인사들과의 접촉을 잇따라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30일 존 필린 미국 해군성 장관은 HD현대중공업 울산 사업장과 한화오션 거제 사업장을 잇달아 방문했다.

필린 장관은 울산에서 정기선 수석부회장을 만나 "우수한 역량을 갖춘 조선소와 협력할 경우 적시에 유지·보수가 가능해져 미 해군이 최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거제에서는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을 만나 "미 해군과 한국 해양 산업 간의 협력은 양국의 동맹을 더욱 단단하게 하는 기반"이라며 양국 관계 강화를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