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20년 턱관절장애로 의료기관을 찾은 환자는 46만여명이었지만, 2023년에는 56만6000여명으로 그 수치가 10만명 이상 증가했다. 이 가운데 한방 추나요법이 턱관절장애의 기능 개선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오면서 주목을 받고 있다.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는 '턱관절장애에 대한 추나요법의 임상적 유효성과 경제성을 분석한 연구 논문'을 국제학술지 '플로스원'에 게재했다고 24일 밝혔다.
해당 질환에는 온열요법, 경피적 전기신경 자극(TENS) 등의 물리치료가 활용되며, 한방에서는 침·약침과 추나요법 등 한의통합치료가 시행된다. 특히 추나요법은 손가락과 손바닥으로 병변 부위를 밀고 당기거나 마찰을 일으켜 비틀어진 체형을 교정하는 치료법으로, 턱관절 질환 호전에도 탁월한 효능을 보인다.
연구 결과, 기능 및 삶의 질 지표에서 추나요법의 우수성이 더 높았다. 턱관절 전반의 기능을 평가하는 턱기능 제한지수(JFLS-Global)는 추나요법군이 치료 전 3.3점에서 치료 후 2.13점으로 약 35% 개선된 반면, 일반치료군은 3.0점에서 2.72점으로 약 9% 개선에 그쳤다.
통증을 평가하는 시각통증척도(VAS)와 통증숫자평가척도(NRS) 모두에서도 추나요법군이 일반치료군보다 유의하진 않지만 더 큰 개선 효과를 보였다. 의료이용과 관련된 비용을 계산한 경제성 평가에서도 추나요법군이 일반치료군보다 효율적인 치료법임이 입증되기도 했다.
이윤재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 부소장은 "이번 연구를 통해 턱관절장애에 대한 추나요법의 임상적 유효성과 경제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할 수 있었다"며 "향후 보다 체계적인 후속 연구와 데이터를 통해 턱관절 추나요법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이 확대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