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0일 경기 의정부 로데오거리에서 열린 유세에서 시민들에게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6주년을 맞아 "'모두가 노무현인 시대', '깨어있는 시민'들의 상식이 통하는 사회, 국민이 주인인 나라, 모두가 함께 잘 사는 대동세상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23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노무현 대통령님, 대통령께서 우리 곁을 떠나신 지 어느덧 16년이 흘렀다"며 "우리 모두는 아직도 당신을 떠나보내지 못한 채, 미완의 꿈을 붙잡고 있다"고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이 후보는 "노무현 대통령님은 저 이재명의 길을 만드는 데 두 번의 큰 이정표가 돼 주셨다"며 "연수원 시절, 노무현 인권 변호사의 특강은 제 인생의 방향에 빛을 비춰 줬다"고 말했다. 그는 "개인의 안위보다 정의를, 타협하기보다 원칙을 고집했던 노무현 대통령의 길이 제 길이 됐다"고 설명했다.
또 이 후보는 "아무도 선뜻 나서지 못했지만 과감히 실행한 정치개혁은 인생의 또 다른 전환점이 됐다"고 했다. 그는 "정치자금법 개정과 투명한 공천제도 개선은 '돈 선거'란 고질적 병폐를 끊고, 불합리한 관행을 없앴다"며 "배경이나 자금력이 아니라 능력과 진심을 자산으로 가진 새로운 정치인의 길을 열어주신 것"이라 부연했다.
이 후보는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강물은 바다를 포기하지 않는다'는 말을 언급하며 "이 문장을 되뇌일 때마다 제 인생의 결정적인 전환점이 됐던 그 순간들이 마음 깊은 곳에서 떠오른다"고 말했다.
그는 "평생에 걸쳐 기득권에 맞서고, 편견의 벽 앞에서도 결코 포기하지 않았던 노무현의 꿈, 지역주의의 높은 산을 기어코 넘고, 특권과 반칙이라는 바위를 지나, 끝내 민주주의라는 바다를 향해 나아간 큰 꿈, 이제 감히 제가 그 강물의 여정을 이으려 한다"며 "무거운 책무지만, 위대한 우리 국민과 함께 해내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한민수 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대변인도 이날 브리핑을 통해 "'노무현 정신'은 깨어 있는 시민의 힘을 믿는 민주주의의 또 다른 이름이자, 국민 주권의 변하지 않는 원칙"이라며 "민주당은 노무현 정신을 받들어 국민을 배반하고 권력을 찬탈하려는 극우 내란 세력에게서 우리 국민의 일상과 주권을 지키겠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23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노무현 대통령님, 대통령께서 우리 곁을 떠나신 지 어느덧 16년이 흘렀다"며 "우리 모두는 아직도 당신을 떠나보내지 못한 채, 미완의 꿈을 붙잡고 있다"고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이 후보는 "노무현 대통령님은 저 이재명의 길을 만드는 데 두 번의 큰 이정표가 돼 주셨다"며 "연수원 시절, 노무현 인권 변호사의 특강은 제 인생의 방향에 빛을 비춰 줬다"고 말했다. 그는 "개인의 안위보다 정의를, 타협하기보다 원칙을 고집했던 노무현 대통령의 길이 제 길이 됐다"고 설명했다.
또 이 후보는 "아무도 선뜻 나서지 못했지만 과감히 실행한 정치개혁은 인생의 또 다른 전환점이 됐다"고 했다. 그는 "정치자금법 개정과 투명한 공천제도 개선은 '돈 선거'란 고질적 병폐를 끊고, 불합리한 관행을 없앴다"며 "배경이나 자금력이 아니라 능력과 진심을 자산으로 가진 새로운 정치인의 길을 열어주신 것"이라 부연했다.
이 후보는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강물은 바다를 포기하지 않는다'는 말을 언급하며 "이 문장을 되뇌일 때마다 제 인생의 결정적인 전환점이 됐던 그 순간들이 마음 깊은 곳에서 떠오른다"고 말했다.
그는 "평생에 걸쳐 기득권에 맞서고, 편견의 벽 앞에서도 결코 포기하지 않았던 노무현의 꿈, 지역주의의 높은 산을 기어코 넘고, 특권과 반칙이라는 바위를 지나, 끝내 민주주의라는 바다를 향해 나아간 큰 꿈, 이제 감히 제가 그 강물의 여정을 이으려 한다"며 "무거운 책무지만, 위대한 우리 국민과 함께 해내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한민수 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대변인도 이날 브리핑을 통해 "'노무현 정신'은 깨어 있는 시민의 힘을 믿는 민주주의의 또 다른 이름이자, 국민 주권의 변하지 않는 원칙"이라며 "민주당은 노무현 정신을 받들어 국민을 배반하고 권력을 찬탈하려는 극우 내란 세력에게서 우리 국민의 일상과 주권을 지키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