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중국제조 2025' 후속 전략 본격화…반도체·첨단기술 집중 육성

  • 블룸버그, 복수의 익명 소식통 인용해 보도

  • 中 무역 불균형 지적에도 산업 중심 성장 기조 유지 시사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사진=타스연합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사진=타스연합뉴스]

중국 정부가 제조업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며 10년 전 발표한 '중국제조 2025' 계획에 이어 반도체 장비 등 첨단 기술 제품 생산을 확대하기 위한 새로운 국가 산업 전략을 준비 중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이 26일(현지시간)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이후 미국 내 제조업 재건을 선언한 가운데 제조업 분야에서 주도권을 쥐고 있는 중국이 이를 더욱 강화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2015년 발표 후 만 10년 된 '중국제조 2025'의 후속 계획을 논의하고 있다. 후속 계획에서는 향후 10년간 반도체와 신소재 등 첨단 기술 분야 산업을 우선순위에 둘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미국 등 다른 국가의 비판을 피하기 위해 기존 '중국제조 2025'와 같은 명칭은 사용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복수의 소식통은 블룸버그에 이 구상이 아직 공개되지 않았으며 내부에서 논의 중인 단계라고 전했다.
 
또한 중국 정부는 내년부터 시행할 중장기 경제성장 로드맵 '15차 5개년 계획'(2026∼2030년)을 마련하는 작업도 진행 중이다. 해당 계획은 중장기적으로 국내총생산(GDP)에서 제조업 비중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미국 등 외국 기술 의존도를 낮추는 것이 목적이다.

이 계획은 내년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공식 발표될 예정이며 '중국제조 2025'의 후속 계획은 그 전후로 공개될 가능성이 있다. 중국 경제 정책 담당 주무 부처인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는 이와 관련해 아직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블룸버그는 이러한 움직임은 중국이 미국과 유럽으로부터 무역 불균형의 원인으로 지적받는 산업 중심 전략을 계속 고수할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중국의 이 같은 움직임은 트럼프 대통령이 선언한 ‘미국 제조업 부활’ 기조와 정면으로 충돌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무기로 철강·의약품·반도체 등 전략 산업에서 자급률을 높이기 위한 ‘전략적 디커플링’(공급망 완전 분리)을 강도 높게 추진하고 있다. 동시에 중국에 소비 중심 경제로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은 여전히 제조업을 안보와 고용 유지의 핵심으로 보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은 지난 19일 허난성 뤄양베어링그룹 공장을 찾아 “제조업을 계속 강화하고, 자립·자강 원칙을 고수하며 핵심 기술을 장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의 소비는 GDP의 약 40% 수준으로 50∼70%인 선진국과 비교하면 낮은 수준이다. 반면 중국의 제조업 중심 투자는 GDP의 약 40%를 차지해 미국의 2배 수준이다.
 
중국 정부가 향후 10년 동안 반도체 분야를 집중 육성할 경우 한국과의 격차가 좁혀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앞서 중국은 2015년 ‘중국제조 2025’를 통해 전기차, 반도체, 로봇, 항공기 등 전략 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해 왔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에 따르면 당시 설정된 13개 핵심 기술 분야 가운데 중국은 5개 부문에서 이미 글로벌 선두권에 진입했으며, 7개 분야에서도 빠르게 추격하고 있다.
 
실제로 중국은 미국과 네덜란드, 일본 등이 반도체 장비 수출을 제한하면서 ASML, 도쿄일렉트론,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 등 주요 장비 기업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자체 생산 역량 강화에 나선 상태다.
 
이를 통해 중국이 반도체 분야 전반에서 국산화를 가속화하고 AI 및 자동차용 반도체 중심의 내수 기반 생태계를 조성하면, 한국 반도체 기업들이 위협을 받을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