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더위가 이어지면서 전국에서 열탈진, 열사병 등 온열질환자도 속출하고 있다.
2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전날 하루 전국에서 51명이 온열질환으로 응급실을 찾았다.
질병청이 지난 5월 15일 전국 500여개 응급실을 대상으로 온열질환 감시체계를 가동한 이래 전날까지 누적 온열질환자는 모두 524명이다.
작년 감시 시작일인 5월 20일부터의 수치만 보면 508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390명보다 118명(30.3%) 많다.
지난달 28일 이후 나흘 동안에만 201명의 온열질환자가 나왔다.
올해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는 모두 3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명 많다.
올해 환자 중 절반 이상(52.5%)이 열탈진이고, 열사병(20.0%), 열경련(14.5%), 열실신(11.6%) 순으로 뒤를 이었다.
노약자가 특히 취약해 전체 환자의 30.5%가 65세 이상이다.
질병청은 "갈증을 느끼지 않아도 물을 자주 마시고, 시원한 그늘에서 더위를 피하며, 더운 시간대에 활동을 자제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2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전날 하루 전국에서 51명이 온열질환으로 응급실을 찾았다.
질병청이 지난 5월 15일 전국 500여개 응급실을 대상으로 온열질환 감시체계를 가동한 이래 전날까지 누적 온열질환자는 모두 524명이다.
작년 감시 시작일인 5월 20일부터의 수치만 보면 508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390명보다 118명(30.3%) 많다.
올해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는 모두 3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명 많다.
올해 환자 중 절반 이상(52.5%)이 열탈진이고, 열사병(20.0%), 열경련(14.5%), 열실신(11.6%) 순으로 뒤를 이었다.
노약자가 특히 취약해 전체 환자의 30.5%가 65세 이상이다.
질병청은 "갈증을 느끼지 않아도 물을 자주 마시고, 시원한 그늘에서 더위를 피하며, 더운 시간대에 활동을 자제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