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인구주택총조사 표본 항목에 ’가족돌봄시간‘, ’결혼 계획ㆍ의향‘, 다문화 가구 및 외국인 대상으로 ’가구내 사용언어‘, ’한국어 실력‘, '임대주체' 등이 추가된다. 저출생, 고령화에 맞춰 정책 수요를 반영하고 다문화 가구와 외국인의 생활 현황을 더 파악하겠다는 취지다.
통계청은 센서스 100년이 되는 '2025 인구주택총조사' 표본조사 항목을 전주기와 동일하게 총 55개로 확정했다고 3일 밝혔다.
전체 항목 중 13개는 행정자료로 대체해 현장조 하지 않으며, 전주기 대비 신규 항목은 7개, 중지 항목 7개, 수정된 항목은 18개다.
또 결혼에 대한 인식, 가구 형성의 다양화, 고령화, 다문화 등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현상을 측정하기 위해 신규 항목도 개발했다.
표본 항목 중, 주요 신규 항목은 저출생, 고령화 등 정책 수요를 반영한 ’가족돌봄시간‘, ’결혼 계획·의향‘, 다문화 가구 및 외국인 대상의 ’가구내 사용언어‘, ’한국어 실력‘, 임대주택 거주 가구의 현황 파악을 위한 ’임대주체‘ 등이다.
아울러 '가구주와의 관계‘ 문항에 ’비혼동거‘ 범주를 추가해 결혼과 동거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인식 변화를 측정하고, 점차 다양해지는 가구 형태를 파악해 관련 정책 수립 및 분석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예정이다.
지난 주기에 민감한 조사항목으로 지적된 ’출산자녀 수‘와 ’자녀 출산 시기‘는 행정자료로 대체해 현장조사 하지 않는다. 초혼 기준의 ’혼인연월‘과 ’출산자녀 수‘ 중 ’사망자녀 수‘는 응답 부담과 자료 활용성을 고려해 조사를 중지했다.
안형준 통계청 차장은 “올해 조사는 코로나19 이후 처음 실시하는 대규모 표본조사(500만 가구 내외)로 다양한 우리나라의 사회·경제 변화상을 파악하게 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