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디아익스프레스 등의 인도 언론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3일(현지시간) WTO에 “(미국) 관세 협의를 요청했으나 이뤄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또 “인도 수출업체들은 미국의 철강 관세 25%로 이미 50억 달러(6조8000억여 원) 이상 손실을 보았다”며 “인도 자동차 부품이 미국에 수출될 때, 25% 관세를 부과받으면 앞으로 미국 시장에서 입지를 잃을 수 있다”고 했다.
이어 인디아익스프레스는 "미국의 관세 징수액은 7억2375만 달러(약 1조 원)에 이른다"며 "미국에서 생산된 제품에 동일한 금액의 관세가 징수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고 보도했다.
최근 트럼프 행정부는 철강뿐만 아니라 모든 외국산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에 지난 5월부터 25%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 2위 규모인 철강과 3대 자동차 시장인 인도에서 두 분야 피해가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번 인도 정부의 관세 대응 예고는 앞으로 미국산 철강과 자동차 수입품에 1조 원 상당의 추가 관세를 매기겠다는 것으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최근 피유시 고얄 인도 상무장관은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절대로 마감일을 기준으로 미국과 협상하지 않는다"고 밝혀, 앞으로 더 큰 진통이 예상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