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흘이나 전산 시스템이 먹통이라니'...금감원, SGI서울보증에 칼 빼든다

  • 첫날 불편사항 55건 접수…향후 더 늘어날 듯

  • 금융당국, 사고 원인에 따라 검사 전환 검토

서울 종로구 SGI서울보증보험 본사 사옥 전경 사진서울보증보험
서울 종로구 SGI서울보증보험 본사 사옥 전경 [사진=서울보증보험]
SGI서울보증보험의 시스템 먹통으로 대출 현장에서 혼란이 이어졌다. SGI서울보증은 전세대출부터 자동차 대출, 신용대출 등 민간 보증시장의 절반을 차지해 향후 보상 과정에서 잡음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금융당국은 고강도 검사로의 전환을 검토하고 있다. 향후 당국의 제재 조치에 따라 기업가치가 하락하며 대주주인 예금보험공사의 SGI서울보증 매각도 순탄치 않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SGI서울보증은 이날 오전 10시부터 핵심 전산시스템을 복구해 보증서 발급을 재개했다. 

지난 14일 처음 전산 장애가 발생한 이후 사흘 만이다. 이번 사고로 대출 등 보증서 발급이 불가능해지며 SGI서울보증의 '피해신고센터'에 첫날 피해사례 신고 1건과 기타 불편사항 상담 등 총 55건이 접수됐다. 문제는 SGI서울보증은 전세 대출, 휴대전화 할부 개통, 자동차 대출 등 민간 보증 시장에서 50%가 넘는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어 피해 사례가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점이다. 

SGI서울보증은 시중은행과의 긴급 협의를 통해 보증서 발급이 가능한 임차인에게는 '선대출, 후보증' 방식으로 먼저 대출을 실행한 뒤 보증보험을 가입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 하지만 대부분 은행은 보증사기, 중복보증 등 우려로 14일 이후 신규 대출 승인을 보류했다. 

이로 인해 당장 신규 대출을 계획하거나 잔금을 제때 지급해야 했던 차주들에게는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신규 임차인의 전세대출 지연으로, 임대인이 기존 임차인의 이사 관련 비용을 부담한 피해 사례도 잇따르고 있다. 신입사원이 신원보증보험에 가입하지 못해 출근을 못하거나 지급보증보험에 가입하지 못한 보험 설계사가 수수료를 한번에 받지 못하고 나눠 받는 사례도 나왔다.

SGI서울보증은 피해 인과관계와 피해액을 입증한 금융소비자를 대상으로 보상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피해 입증 과정에서 소비자 측과 SGI서울보증 측간 주장이 엇갈리는 사례가 적지 않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주택도시보증공사(HUG)와 주금공을 통해서도 보증을 받을 수 있지만 서울보증의 전세대출 한도는 최대 5억원으로 가장 높아 다른 보증기관으로 이동한 소비자는 적었다"며 "은행 본점과 지점별 승인 편차도 커 금융소비자 사이에서 혼란도 가중됐다"고 설명했다. 

이례적으로 긴 장애 시간에 시스템 복구 이후 금융당국의 검사와 제재도 불가피할 것으로 관측된다. 전자금융감독규정에 따르면 전자금융사고 시 핵심업무의 복구 목표 시간은 3시간 이내로 하되 보험업법에 의한 보험사 핵심 업무는 24시간 이내로 하게 돼 있다. 금감원 IT검사국과 금융보안원은 SGI서울보증에 인력을 파견해 악성코드 유입 경로 등 기술적인 문제를 조사하고 있다. 향후 사고 원인에 따라 검사로 전환해 몇년 동안의 내부통제 관리 이력을 들여다볼 수 있을 전망이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전산 장애를 넘어 SGI서울보증의 기업가치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대주주인 예보는 내년 3월 이후 SGI서울보증의 지분 33.85%를 매각할 계획이었다. 예보는 지분 매각으로 1조원 규모의 공적자금을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봤지만 내부통제 리스크로 기업가치가 떨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예보 관계자는 "피해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이번 사태로 매각 시기가 늦춰지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