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대웅의 정문일침(頂門一鍼)] 김동연, 위기관리 리더십 발휘하며 '현장에서 찾은 답'

  • 역대급 폭우와 폭염, 피해 복구와 실질 대비책 마련

  • 김동연표 일상 회복 지원금 지원 정부조치 마중물

  • 현장에서 답을 찾는 광폭 행보 이어가며 도민 위로

사진경기도
김동연 경기도지사(가운데)가 가평군 조종면 집중호우 피해지역 현장을 방문해 도민의 일상 회복을 위한 가능한 모든 조치를 주문하고 있다.[사진=경기도]

'현장에 답이 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재난 방지와 복구를 위해 평소 강조해 온 철학이다. 김동연 지사는 지난 한 주간도 역대급 수마(水魔)가 휩쓸고 지나간 경기도 내 곳곳을 누비며 '위기관리 리더십'을 발휘했다. 그 뿐만이 아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발급 첫날에도 어김없이 발급 현장을 찾아 도민 격려와 건의사항 청취를 이어갔다.

이어 도정에 복귀한 김 지사는 '폭염과의 전쟁'도 다시 선포했다. 폭염 대처 상황을 보고 받은 뒤 여름철 에너지 취약계층 위기가구 발굴 조사와 지원을 재차 강조했다.   하겠다는 다짐도 했다. 김 지사의 현장에서 답을 찾는 광폭 행보는 재해로 무너져 내리고, 팍팍한 삶에 지친 도민들의 마음을 위로하는 데 큰 힘이 되고 있다.

그중 가평군이 특별 재난지역으로 선포되고 수해지역 일상회복지원금이 경기도 조례지정이후 첫 지급이 더욱 그렇다. '일상회복지원금'은 자연재난으로 인한 소상공인 피해 발생 시 지급되는 재난 지원금에 더한 별도 지원금이다. 영업손실 등 피해를 더 실질적이고 두텁게 보호하기 위해 김 지사가 만든 제도다.

피해 정도에 따라 최소 300만원에서 최대 700만원까지 지원한다. 따라서 경기도 피해 소상공인들은 정부재난 지원금 300만원에 더해 최소 600만원에서 1000만원의 지원금을 받게 된다. 재난지역으로 우선 선포돼 국세·지방세 납부 유예, 공공요금 감면 등 정부 지원을 받게 된 가평군에 대한 후속 조치도 곧 추진될 전망이다.

이 외에도 김 지사는 지난 21일부터 또 다른 현장을 찾고 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를 방문, 발급 현장을 점검하고 '가능하면 지역사랑상품권으로'으로 사용토록 독려하기 위함이다. '지역사랑상품권'은 이재명 대통령이 경기도지사 시절 추진했던 정책이다. 이를 김 지사가 이어받아 더 활성화한 정책이다.

특히 지난 정부에서 지역화폐 예산이 60% 이상 삭감된 상황에서도 김 지사는 도 예산을 늘리며 굽힘 없이 추진했다, 2023년 2조 4941억 원에서 24년 3조 2000억 원, 25년 3조 3782억 원이나 지급 서민들에게 큰 힘을 줬다. 김 지사는 이번에도 현장을 찾으며 민생회복 소비 쿠폰의 효율적 사용을 당부하고 있다.

그러면서  "경기도는 '민생지원 소비쿠폰 TF'를 만들어서, 도의 재정지원이라든지 운용상의 애로나 효과 등을 책임지려고 한다"면서 "취지에 맞게끔 적극적으로 쓰셔서 민생 회복에 다 함께 힘을 모아 어려운 경제난국을 회복했으면 좋겠다"고 말하고 있다.

김 지사는 23일 폭염 대응은 생존의 문제라며 극한 폭염 대비 긴급대책도 지시했다. 지원에도 나섰다. 옥외노동자 보냉장구 지원사업비 15억 9000만 원을 31개 시군에 전액 지급한 것이다. 이밖에 재난 관리기금 및 재해구호기금을 투입 폭염 저감 시설 설치 지원, 폭염취약분야 보호대책 강구에 200억원을 지원키로 했다.

이 중 31개 시군 공사현장 근로자 보냉장구 지원사업은 현장 맞춤형 집중지원 사업으로 김 지사가 헌장에서 찾은 답 중 하나다. 역대급 폭우와 폭염, 롤러코스터 같은 극단적인 기후변화와 경제위기 속 현장에서 리더십을 발휘 중인 김 지사의 행보가 도민들의 마음을 위로하는 데 큰 힘이 되길 기대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