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가운데)이 24일 경기 성남시 카카오뱅크 판교오피스에서 열린 ‘AI·데이터 활용 소상공인 신용평가 개선을 위한 현장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금융위원회]
금융위원회가 개인사업자 전용 마이데이터 서비스 ‘마이 비즈니스 데이터’ 도입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개인사업자도 여러 금융기관에 산재한 사업자로서의 △금융정보 △상거래정보 △공공정보 등을 통합조회·관리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24일 경기 성남시 카카오뱅크 판교오피스에서 열린 ‘AI·데이터 활용 소상공인 신용평가 개선을 위한 현장간담회’에 참석해 “소상공인들의 정보를 폭넓게 모으고 유기적으로 활용하는 시스템을 만들겠다”며 이와 같은 계획을 밝혔다.
권 부위원장은 소상공인에 대한 정확한 신용평가가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정부 정책의 성패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인공지능(AI)나 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을 총동원해 지금과는 다른 새로운 방식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사업체로서 쌓아온 평판·업력과 같은 정보, AI로 분석한 미래성장성 등이 소상공인‧개인사업자 신용평가에 반영되도록 제도적으로 지원하겠다”며 “금융이력이 부족한 소상공인들이 아이디어나 기술력 등을 기반으로 평가받을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개인사업자 전용 마이데이터, 소상공인 전용 신용평가시스템(SCB)을 통해 이와 같은 시스템 구축에 나설 방침이다. 마이 비즈니스 데이터는 단순 신용정보관리에 더해 소상공인 △창업 △영업 △폐업 후 재기 지원 등 모든 단계에 걸쳐 통합 금융비서 역할을 하도록 설계된다.
이에 더해 정보 주체의 지시에 따라 개인사업자를 대리해 금융 관련 법에 근거한 권리를 행사하고 결과를 전달하는 ‘금융대리인’ 역할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필요한 관련 법령의 개정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전문가, 관계기관 등으로 구성된 실무작업반을 구성해 올해 하반기 중 ‘마이 비즈니스 데이터 도입방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또 내년을 목표로 신용정보법 등 관련 법령 개정 절차에 착수한다.
아울러 소상공인·자영업자 통합정보센터(SDB) 구축과 이를 활용한 SCB 개발, 토큰증권(STO)을 통한 소상공인 자금조달 수단 다변화 등도 추진한다. SCB 관련 세부 내용은 올해 안에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권 부위원장은 “앞으로 데이터를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데이터를 활용해 현장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며 “디지털 기술이 소상공인에게는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실질적인 기회가 되고, 우리 경제에는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24일 경기 성남시 카카오뱅크 판교오피스에서 열린 ‘AI·데이터 활용 소상공인 신용평가 개선을 위한 현장간담회’에 참석해 “소상공인들의 정보를 폭넓게 모으고 유기적으로 활용하는 시스템을 만들겠다”며 이와 같은 계획을 밝혔다.
권 부위원장은 소상공인에 대한 정확한 신용평가가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정부 정책의 성패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인공지능(AI)나 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을 총동원해 지금과는 다른 새로운 방식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사업체로서 쌓아온 평판·업력과 같은 정보, AI로 분석한 미래성장성 등이 소상공인‧개인사업자 신용평가에 반영되도록 제도적으로 지원하겠다”며 “금융이력이 부족한 소상공인들이 아이디어나 기술력 등을 기반으로 평가받을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더해 정보 주체의 지시에 따라 개인사업자를 대리해 금융 관련 법에 근거한 권리를 행사하고 결과를 전달하는 ‘금융대리인’ 역할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필요한 관련 법령의 개정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전문가, 관계기관 등으로 구성된 실무작업반을 구성해 올해 하반기 중 ‘마이 비즈니스 데이터 도입방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또 내년을 목표로 신용정보법 등 관련 법령 개정 절차에 착수한다.
아울러 소상공인·자영업자 통합정보센터(SDB) 구축과 이를 활용한 SCB 개발, 토큰증권(STO)을 통한 소상공인 자금조달 수단 다변화 등도 추진한다. SCB 관련 세부 내용은 올해 안에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권 부위원장은 “앞으로 데이터를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데이터를 활용해 현장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며 “디지털 기술이 소상공인에게는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실질적인 기회가 되고, 우리 경제에는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