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칩플레이션 공습] 역대급 폭염·괴물 폭우, 서민경제 직격탄…소비심리 회복세 찬물

  • 7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 2.1%

  • 가공식품 4.1%·수산물 7.3% 올랐다

  • 밥상물가 직격탄에 칩플레이션 비상

연합뉴스
[연합뉴스]
올여름 역대급 폭염과 괴물 폭우가 번갈아 나타나면서 저가 상품 가격이 고가 상품보다 더 많이 빠르게 오르는 '칩플레이션(cheapflation)' 현상이 짙어졌다. 서민의 주요 먹거리인 농수산물과 가공식품 가격 급등은 서민 경제에 직격탄으로 작용해 가까스로 띄운 소비심리를 다시 꺾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통계청이 5일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6.52(2020년=100)로 1년 전보다 2.1% 올랐다. 전반적인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대에서 안정된 반면 생활물가는 여전히 높은 수준에 머무르며 저소득층의 고통이 가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물가 상승의 중심에는 가공식품 같은 필수 소비재 가격 급등이 자리한다. 가공식품 물가는 출고가 인상 영향으로 4.1%나 급등했다. 뜨거운 바다 수온으로 인해 수산물도 7.3% 올랐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찜통 더위에 그러잖아도 시들해진 작물들이 폭우를 맞아 다 쓰러져 버렸다"며 "먹거리 물가와 관련해 폭염과 폭우가 극단적으로 번갈아 나타나는 건 최악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품목별로 상승률을 살펴보면 찹쌀 42%, 쌀 7.6%, 고등어 12.6%, 마늘 18.7%, 달걀 7.5%, 커피 15.9%, 빵 6.4% 등이다. 급등한 품목은 주로 지갑 사정이 여의치 않을 때 찾는 칩플레이션 품목이다. 칩플레이션은 값이 싸다는 의미인 '칩(cheap)'과 물가 상승을 뜻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성한 말이다. 한은에 따르면 팬데믹 이후 저소득층이 고소득층에 비해 더 높은 인플레이션을 경험하며 인플레이션 불평등이 심화되는 추세다.

먹거리 가격 상승 등 칩플레이션이 심화되면 소비자 지갑은 다시 닫힐 가능성이 높다. 소비쿠폰 등 겨우 반등 계기를 마련한 내수 경기는 다시 꺾일 수밖에 없다. 한은이 내놓은 7월 소비자동향조사에 따르면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전월 대비 2.1포인트 오른 110.8로 2021년 6월(111.1) 이후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해는 내수 부양 관점에서 물가 안정이 특히 절실하다. 한은은 저소득층 부담을 높이는 칩플레이션을 완화하기 위해 정부가 중저가 상품 가격 안정에 집중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미 물가가 많이 오른 상황인데 8월에도 폭염과 장마가 신선식품과 외식 물가를 자극할 것이란 우려가 나오면서다. 

김웅 한은 부총재보는 이날 물가상황점검회의에서 "8월 집중호우, 폭염 등 여파로 농축수산물 가격이 높은 상승세를 나타낼 것"이라며 "대외 여건의 불확실성도 여전히 큰 만큼 8월 전망 시 물가 경로를 면밀히 점검해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