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계청이 5일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6.52(2020년=100)로 1년 전보다 2.1% 올랐다. 전반적인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대에서 안정된 반면 생활물가는 여전히 높은 수준에 머무르며 저소득층의 고통이 가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물가 상승의 중심에는 가공식품 같은 필수 소비재 가격 급등이 자리한다. 가공식품 물가는 출고가 인상 영향으로 4.1%나 급등했다. 뜨거운 바다 수온으로 인해 수산물도 7.3% 올랐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찜통 더위에 그러잖아도 시들해진 작물들이 폭우를 맞아 다 쓰러져 버렸다"며 "먹거리 물가와 관련해 폭염과 폭우가 극단적으로 번갈아 나타나는 건 최악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품목별로 상승률을 살펴보면 찹쌀 42%, 쌀 7.6%, 고등어 12.6%, 마늘 18.7%, 달걀 7.5%, 커피 15.9%, 빵 6.4% 등이다. 급등한 품목은 주로 지갑 사정이 여의치 않을 때 찾는 칩플레이션 품목이다. 칩플레이션은 값이 싸다는 의미인 '칩(cheap)'과 물가 상승을 뜻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성한 말이다. 한은에 따르면 팬데믹 이후 저소득층이 고소득층에 비해 더 높은 인플레이션을 경험하며 인플레이션 불평등이 심화되는 추세다.
올해는 내수 부양 관점에서 물가 안정이 특히 절실하다. 한은은 저소득층 부담을 높이는 칩플레이션을 완화하기 위해 정부가 중저가 상품 가격 안정에 집중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미 물가가 많이 오른 상황인데 8월에도 폭염과 장마가 신선식품과 외식 물가를 자극할 것이란 우려가 나오면서다.
김웅 한은 부총재보는 이날 물가상황점검회의에서 "8월 집중호우, 폭염 등 여파로 농축수산물 가격이 높은 상승세를 나타낼 것"이라며 "대외 여건의 불확실성도 여전히 큰 만큼 8월 전망 시 물가 경로를 면밀히 점검해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