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억원 금융위원장 후보자가 2일 서울 여의도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이억원 금융위원장 후보자가 금융당국 조직개편과 관련해 “확정적이지 않은 내용에 기반해 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구체적인 내용이 공개되고 그것에 대해 의견을 피력할 기회가 생기면 필요한 얘기를 하겠다”고 말했다.
이 후보자는 2일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금융당국 조직개편에 관한 질문에 대해 이처럼 말했다. 민감한 사안에 대한 답변을 회피한 것으로 풀이된다.
전날 여당이 대통령실과 금융당국 조직개편안을 논의한 것을 두고 이날 인사청문회에 앞서 여야간 설전이 벌어졌다. 야당 의원들은 금융위가 해체될 예정이라면 금융위원장 인사청문회를 진행하는 게 무의미하다고 주장했다. 금융당국 조직개편에 대한 민주당의 입장을 확실히 하는 게 우선이라고 항의했다. 이와 관련해 강준현 민주당 의원은 “금융위 기능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한 조직개편안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면서도 “논의 단계고, 결정이 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우여곡절 끝에 시작된 인사청문회에서 이 후보자는 “일관적이고 확고한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필요하다면 추가 규제를 즉각 시행하겠다”고 강조했다.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6·27 대책’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는 의지도 재차 밝혔다.
그는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국내 주력산업 사업재편 등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이에 더해 △생산적 영역으로의 자금공급 확대 △공정하고 활력 있는 자본시장 조성 △취약계층 금융접근성 확대 △금융소비자 보호 체계 강화 등의 정책을 추진해 금융이 제대로 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청문회에서는 이 후보자가 투자 목적으로 재건축을 앞둔 강남 지역 아파트를 사들여 시세차익을 누렸다는 의혹이 다뤄졌다. 2005년 아파트를 매입한 뒤 실제 거주하지 않았고, 2013년 비싼 가격에 되팔았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이 후보자는 “(매입한 아파트에) 거주하려고 했지만 세입자랑 전세 일정을 맞추는 게 여의치 않았다”고 답했다. 그는 2013년 매입한 개포주공아파트도 거주 목적으로 구입했다가 사정이 생겨 경기 용인시에 전입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김재섭 국민의힘 의원은 “후보자가 매입했던 아파트는 17평 규모인데 후보자가 실제 거주했던 아파트는 24평과 32평짜리 아파트였다”며 “아파트를 실거주 목적으로 매입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후보자는 아파트 투자로 시세차익을 누리셨는데 가계대출을 추가로 규제하겠다고 하면 집 없는 사람들은 원망을 느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후보자가 LF, CJ대한통운, 이브로드캐스팅 등에서 사외이사로 ‘겹치기 근무’를 통해 3년여간 6억원 이상의 보수를 받았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이 후보자는 고액 연봉 논란과 관련해 “국민 눈높이에서 적절한지 새기겠다”면서도 “세 곳에서 사외이사를 동시에 하지는 않았고, 보수는 회사 규정에 따라 수령했다”고 설명했다.
이 후보자는 2일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금융당국 조직개편에 관한 질문에 대해 이처럼 말했다. 민감한 사안에 대한 답변을 회피한 것으로 풀이된다.
전날 여당이 대통령실과 금융당국 조직개편안을 논의한 것을 두고 이날 인사청문회에 앞서 여야간 설전이 벌어졌다. 야당 의원들은 금융위가 해체될 예정이라면 금융위원장 인사청문회를 진행하는 게 무의미하다고 주장했다. 금융당국 조직개편에 대한 민주당의 입장을 확실히 하는 게 우선이라고 항의했다. 이와 관련해 강준현 민주당 의원은 “금융위 기능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한 조직개편안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면서도 “논의 단계고, 결정이 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우여곡절 끝에 시작된 인사청문회에서 이 후보자는 “일관적이고 확고한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필요하다면 추가 규제를 즉각 시행하겠다”고 강조했다.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6·27 대책’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는 의지도 재차 밝혔다.
이날 청문회에서는 이 후보자가 투자 목적으로 재건축을 앞둔 강남 지역 아파트를 사들여 시세차익을 누렸다는 의혹이 다뤄졌다. 2005년 아파트를 매입한 뒤 실제 거주하지 않았고, 2013년 비싼 가격에 되팔았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이 후보자는 “(매입한 아파트에) 거주하려고 했지만 세입자랑 전세 일정을 맞추는 게 여의치 않았다”고 답했다. 그는 2013년 매입한 개포주공아파트도 거주 목적으로 구입했다가 사정이 생겨 경기 용인시에 전입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김재섭 국민의힘 의원은 “후보자가 매입했던 아파트는 17평 규모인데 후보자가 실제 거주했던 아파트는 24평과 32평짜리 아파트였다”며 “아파트를 실거주 목적으로 매입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후보자는 아파트 투자로 시세차익을 누리셨는데 가계대출을 추가로 규제하겠다고 하면 집 없는 사람들은 원망을 느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후보자가 LF, CJ대한통운, 이브로드캐스팅 등에서 사외이사로 ‘겹치기 근무’를 통해 3년여간 6억원 이상의 보수를 받았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이 후보자는 고액 연봉 논란과 관련해 “국민 눈높이에서 적절한지 새기겠다”면서도 “세 곳에서 사외이사를 동시에 하지는 않았고, 보수는 회사 규정에 따라 수령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